최태원 SK그룹 회장은 4일 HBM 주도 리더십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을 추월할 것이란 전망에 대해 "삼성도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행사장에서 스탠딩 인터뷰를 진행하며 '연말까지 반도체 실적상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추월할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고 차별점을 어떻게 두고 있나'라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AI)라는 것이 반도체 업계에 들어오며서 여러 종류의 접근법이 필요하다"며 "우리가 하는 접근이 따로 있고 다른 회사들이 하는 접근도 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다 똑같은 반도체 회사로 똑같이 보고 누가 더 잘한다라는 말을 하는 것은 어렵다"며 "삼성은 훨씬 저희보다 많은 기술과 많은 자원들을 갖고 있다. AI의 물결 속에서 삼성도 잘 타서 더욱 좋은 성과를 잘 낼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AI 생태계에서 SK가 가진 차별화와 매력에 대해서는 '비용절감'을 꼽았다. 이와 관련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의 여러 가지 솔루션들을 결국 그들의 코스트를 절약해 줄 수 있는 부분이냐가 된다"고 견해를 전했다.

향후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MS)·TSMC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구체적 협력 방안이나 투자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어떻게 하면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서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비지니스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커스터머가 되든지 아니면 같은 투자자로 함께 하든지 파트너링을 해서 문제를 풀어내는 방향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기조연설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의 일화를 소개하며 HBM(고대역폭 메모리)4의 공급을 6개월 앞당기기로 했다는 데 대해선 "샘플을 더 빨리 낼 수 있겠냐는 질문이었고 빨리 내겠다고 한 것"이라며 "정말로 딜리버리(공급)되는지는 저도 봐야 하는 일이고 기술이라는 게 당긴다고 마음 먹었다고 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칩 레벨이 갖고 있는 기준에 다 맞춰야 하는 것이고 양산이라는 문제까지 해결해야 하니 ‘당겨보자’는 서로의 의지로 합을 맞췄다고 이해해달라"고 했다.

최 회장은 또 올해 SK그룹이 진행하고 있는 리밸런싱과 운영 개선과 관련해서, ‘AI 투자 비용을 어떻게 충달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리밸런싱으로) 줄인 부분을 어디다가 투자하지 않겠냐"며 "AI 쪽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아질 거라 생각을 한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