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CEO 간담회에서 CEO들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자리에 착석해 있다. [제공=EBN]
통신3사 CEO 간담회에서 CEO들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자리에 착석해 있다. [제공=EBN]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U+)가 5G 요금제보다 비싼 LTE 요금제 가격 '역전 현상' 해결을 위해 속도를 낸다.

이는 올해 국정감사에서부터 꾸준히 지적이 일던 사안으로, 5G 요금제보다 비싼 LTE 요금제는 연내로 가입이 중단된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황현식 LGU+ 대표 등 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에 뜻을 모았다.

내년 1분기 KT의 통합요금제 시행을 시작으로, SKT와 LGU+ 또한 전산시스템이 갖춰지는 대로 시스템을 구축해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KT 김 대표는 LTE·5G 간 요금제 역전 현상에 대한 지적에 "이른 시일 내 5G 요금제와 LTE 요금제를 통합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날 백브리핑을 통해 "통신비와 관련해 장관은 LTE 요금이 5G보다 비싼 요금 역전현상과 선택약정 문제 등에 대해 소비자 관점에서 소비자 권익의 실질적 증진 방안을 조속히 제시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류 실장은 이어 "LTE 요금 문제에 대해서 3사 대표 모두 명확하게 5G보다 비싼 LTE 요금제는 연내 가입을 중단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방안과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선택약정할인제도(공시지원금 대신 통신 기본요금의 25%를 할인받는 제도) 미가입자가 많다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또 알뜰폰이 통신3사 과점체제 하에서 실질적인 경쟁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력 강화에 적극 협력할 것을 요청했다.

인공지능(AI) 사업을 구체화 중인 통신3사의 수장들은 AI 투자 촉진을 위해 세제 혜택과 여러 가지 규제에 대해 정부가 적극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특히 KT는 최근 이뤄진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력 방안과 향후 계획을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SKT의 경우 중동 등 해외 국가와 AI 협업을 하며 느낀 투자 열정에 대한 소감을, LG유플러스는 AI가 통신사의 대표 아젠다가 됐음을 강조하며 협력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유 장관과 통신3사 CEO들은 이날 간담회에서 △알뜰폰 활성화 방안 △불법스팸 근절 △중소상공인 지원 △AI 네트워크 등 미래 투자에 대해 논의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