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1/1644089_655625_3233.jpg)
서울시는 157만명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6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자금보탬+', '매출보탬+', '공정보탬+', '새길보탬+' 등 네 가지 주요 분야에서 총 19개의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내년에는 이 프로젝트에 약 5356억원을 투입해 '장사하기 좋은 서울' 만들기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 상인을 대상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총 2조1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장기 저리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올해보다 2350억원 증가한 수치다.
제2·3 금융권으로 내몰린 중저신용 소상공인을 위해 마이너스통장 형태의 '안심통장'도 도입한다. 또 생계형·중저신용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자금 지원 방안도 포함됐다. 이들 대상에 대한 지원은 확대될 예정이며, 배달 및 결제 수수료 완화, 온라인 시장 진입 지원 등 여러 부문에서도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골목 상권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 범위를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확대하며, 민간 배달 플랫폼의 높은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공공배달앱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더불어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주 간 공정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도 마련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속되는 경기침체 속에서 소상공인의 폐업률이 급증하는 상황"이라며 "이번 프로젝트가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올핸 연말 특수도 없다"…경기침체에 자영업자 '비명'
- 티메프 피해자들 "구영배 구속" 지속 요구하는 이유
- 당근, 구글 선정 ‘올해를 빛낸 일상생활 앱 최우수’ 수상
- 배달앱 수수료 논란 여전…“부담 완화” vs “졸속 합의”
- 온누리상품권 깡 막는다…중기부 매달 현장조사
- 편의점 900곳, 배달·퀵 이동노동자에 추위 쉼터 제공
- [단독] 법망 피해 꼼수영업…온누리상품권 주류판매 여전
- 대출 못갚은 개인·자영업자 614만명…연체액만 50조
- 온누리상품권 환전·구매 한도 낮춘다…"부정유통 134곳 적발"
- 온누리상품권 역대 최대로 푼다는데…부정유통 근절책 시급
- 온누리상품권 운영사 교체 갈등…통합 플랫폼 구축 지연 우려
-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법’ 재추진…가맹점주 기대감 증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