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GC녹십자]
[제공=GC녹십자]

GC녹십자와 동아에스티가 mRNA-LNP 기술을 활용한 만성염증질환 신약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번 협력은 지난해 10월 체결한 공동연구계약의 후속 조치로 양사는 새로운 약물 타깃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GC녹십자는 선정된 타깃에 작용하는 mRNA 합성과 특정 조직 전달이 가능한 LNP(지질 나노입자) 최적화를 담당한다. 동아에스티는 이렇게 개발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 규명과 동물모델 유효성 평가를 맡게 된다.

정재욱 GC녹십자 R&D부문장은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당사의 mRNA-LNP 기반 기술을 발전시키고 다양한 신약 개발에 확대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은 "양사의 역량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혁신적인 면역질환 신약 개발의 성과를 이루겠다"고 했다. 

GC녹십자는 mRNA-LNP 기술을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선택하고 자체 기술력과 특허를 확보해왔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독감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예방 백신과 치료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이번 계약을 통해 해당 플랫폼의 응용 영역을 면역질환 분야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염증 질환 분야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만성 염증성 질환을 목표로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 의과대학과 AAV(아데노부속바이러스) 매개 유전자 치료제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