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가 최근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정치적 불안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섰다. [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6051_657946_4538.jpg)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최근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정치적 불안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섰다. 이를 위해 모든 가용 수단을 동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6일 중기부는 본부 간부와 지방중소기업청장을 전원 소집해 '민생경제 상황 점검·대응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지방청이 지역 상인회 등 단체와 긴밀히 소통하며 현장 애로사항을 신속히 수렴해야 한다"고 주문하며 "수출지원기관과 협력하여 중소·벤처기업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모든 가능한 방안을 통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 장관은 "우리 경제의 근간인 중소·벤처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하기관 및 모든 직원들이 흔들림 없이 임무를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지난 11일에는 민생경제 상황 점검·대응 태스크포스(TF) 1차 회의를 개최하며 관련 대책 마련에 착수한 바 있다. 이에 더해, 지난 7월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과 이달 초 발표한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도 차질 없이 추진될 예정이다.
중기부는 내년도 예산 확보를 계기로 소상공인과 벤처·스타트업, 그리고 중소기업 대상 정책과 사업들을 신속하게 준비하고 재정을 조기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소비심리 위축 및 외국인 관광객 감소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화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또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력하여 경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정기적인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며 불안감을 완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