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6693_658713_828.jpg)
올해 1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8.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은 3.9%, 온라인 부문은 11.8% 성장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월 국내 주요 23개 유통업체 매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8.0% 증가한 15조97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오프라인에선 준대규모점포가 6.8%로 가장 크게 늘었다. 대형마트(5.7%), 편의점(5.1%), 백화점(1.4%)가 뒤를 이었다. 준대규모점포는 집밥 수요 증가와 김장 등으로 식품군이 크게 정장했지만 비식품군은 하락했다.
대형마트도 집밥 수요 증대와 김장 등으로 식품 분야가 10% 이상 성장했다. 다만 가정·생활, 비식품군은 소폭 감소했다. 백화점에선 식품, 해외유명브랜드가 각각 3.8%, 7.8% 상승했다. 잡화와 여성정장 매출은 각각 3.5%, 7.1% 감소했다.
오프라인 점포당 매출은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준대규모점포 모두 증가했다. 점포 수는 전년 동월 대비 편의점과 준대규모점포는 확대했지만, 대형마트와 백화점은 감소했다.
온라인에선 가공식품, 간편식, 음식배달 서비스, 여행상품 등 구매 증가로 식품과 서비스 부문이 성장했다. 반면 해외직구 영향으로 가전·전자, 패션·의류, 스포츠 부문은 감소했다.
한편, 산업부는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편의점(GS25·CU·세븐일레븐), SSM(이마트에브리데이·롯데슈퍼·GS더프레시·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곳과 SSG, 쿠팡, 11번가 등 10개 온라인 유통사의 매출 동향을 집계해 발표한다.
- ['25 전망] 온라인마저 성장 둔화...유통업계, 내년 더 어렵다
-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할인" 이마트 신 마케팅 '고래잇 캠페인' 공개
- [결산 ‘24] 고물가에 몸살 앓은 패션·뷰티…소비계층별 양극화는 심화
- 김장철 배추김치·김장 채소류 원산지표시 위반 180개소 적발
- "수수료·비용 상승" 올해 대형유통 거래 납품업체 부담 커졌다
- 롯데, 사랑의열매 ‘희망 2025 나눔 캠페인’에 성금 70억원 기탁
- 심각한 연말 불경기…외식 감소에 배달 수요도 '뚝'
- 농식품부, 농산물 수급 안정 위한 지원단 신설
- 홈플러스, 티니핑 인기에 크리스마스 여아완구 매출 15%↑
- 신세계그룹, 中알리바바와 '맞손'…5대5 합작법인 설립한다
- 판매중단·리콜·환불·퇴출…패션街, ‘혼용률 조작’ 뒷수습에 진땀
- 세븐일레븐, 가맹점 상생협약 체결…경영주 복리후생 확대
- 쿠팡, ‘이달의 신상’ 테마관 신설…매달 새로운 상품·브랜드 소개
- 11번가, ‘로봇청소기 4대 브랜드’ 최저가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