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제공=픽사베이]
 비트코인 [제공=픽사베이]

미국 대선을 계기로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가상자산 육성 공약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을 자극하며 신규 투자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1월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는 총 1559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0월 말 대비 약 61만명이 늘어난 수치로, 국민의 약 30%가 가상자산 투자를 하고 있는 셈이다. 이 통계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 계정을 기준으로 중복 합산된 결과다.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 이후 처음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증가세는 꾸준히 이어졌다. 특히 11월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시장은 다시 활기를 띠었다. 한 달 사이 비트코인 가격은 약 35% 급등했고, 이에 따라 보유 금액도 동반 상승했다.

11월 말 현재 국내 가상자산 보유금액은 시가 평가 기준으로 총 102조6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월 대비 두 배 가까운 증가로 눈길을 끌었다. 같은 기간 개인 평균 보유액도 기존 월평균 약 350~380만원 수준에서 무려 658만원까지 급증했다.

예치금 또한 큰 변화가 있었다. 거래소에 예치된 자금 규모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약 8조8000억원이었다. 이는 이전 몇 개월간 약 4조원대를 유지하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운 증가율이다.

거래 규모 역시 급격히 확대됐다. 국내 주요 거래소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지난달 중 약 1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와 코스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을 합한 수준과 맞먹는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일평균 거래대금은 약 3조원대를 유지했던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성장세다.

임광현 의원은 “가상자산 시장의 확장이 주식시장과 견줄 만큼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 차원에서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통계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정책적 변화 가능성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동시에 국내에서도 관련 규제와 시장 안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