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실손의료보험이 평균 약 7.5% 인상된다.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는 지난 24일 설명자료를 내고 내년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보험료 기준 가중평균)이 약 7.5%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3년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인 연평균 8.2%보다 0.7%포인트(p) 낮은 수준이라고 협회 측은 전했다.
1세대는 평균 2%대, 2세대는 평균 6%대 오르는 데 그치지만, 3세대는 평균 20%대, 2021년 출시된 4세대는 평균 13%대 상승하낟.
올해는 실손의료보험 인상률이 평균 약 1.5%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4세대는 동결됐다.

2023년에는 전체 평균 인상률이 8.9%, 2022년에는 14.2%대 였다.
통상 실손보험 신상품의 최초 요율 조정 주기는 5년이다. 하지만 4세대 실손은 3년 6개월만에 올랐다. 당국과 협회 측은 과잉의료 이용으로 보험료가 인상되는 것이라면서 4세대 실손은 3세대와 보장내용이 유사해 통계적 적합성이 있기 때문에 현행 세칙상 주기를 앞당겨서 요율 조정이 가능하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특히 실손보험 손해율은 일부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 문제로 지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18.5%로 작년(118.3%)보다 올랐다. 이 중 3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올해 상반기 149.5%, 4세대는 131.4%에 달했다. 손해율이 100%보다 높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에서 적자를 기록 중이란 얘기다.
협회는 "내년도 보험료 인상률은 보험사들의 평균 수준으로,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인상률이 아니다"라며 "가입상품의 갱신주기·종류·연령·성별 및 보험회사별 손해율 상황 등에 따라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다를 수 있다"고 부연 설명했다.
실제 보험료 조정 수준은 개인별 보험계약이 갱신되는 시기에 보험회사에서 발송하는 보험료 갱신 안내장 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다. 계약 갱신 주기는 1세대 상품이 3∼5년, 2세대 상품은 1∼3년, 3·4세대 상품은 1년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매년 실손보험료가 오르는 데 업계에서도 크게 부담으로 느끼고 있다"면서 "보건·금융당국이 의료 개혁 차원에서 논의 중인 실손보험 상품구조 개편과 비급여 관리 강화 방안이 조속히 마련돼서 소비자 보험료 부담도 완화되고 실손보험 지속가능성이 확보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 [보험직썰] 80년대생 대표가 온다…오너家 책임감·경영시험·‘파리떼’도 들끓어
- [보험직썰] "대형손보사 5곳 함께 사회적 기능"…MG손보 1/5씩 나누기?
- [보험썰] 이복현 원장, 이젠 보험사 대주주를 만나야 한다
- [보험썰] GA, 보험사에 선전포고…"종속되지 않는다, 주인 vs 주인으로 만나자"
- [보험썰] "무책임한 회계법인, '낙관·비관적 보험해지율 가정' 모두 인정"
- [보험썰] '낙관이냐, 보수냐'…금감원 해지율 개편에 손보사 '반대10' vs '찬성1'
- [보험썰] '역대급 제안' 메리츠화재의 MG손보 인수 셈법
- 지방 소멸 위기…국토부, 민관 협력으로 해결
- '2조 적자' 실손보험 인상…비중증·중증질병·상해 구분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