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생이 리더그룹에서 활약 중이다. 재임 중인 1960~1970년대생 사장 뒤를 맹추격 하고 있다. 80년대생 리더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교차기에 태어나 '전환기'를 만끽한 세대.[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5785_657674_5713.jpg)
1980년대생이 리더그룹에서 활약 중이다. 재임 중인 1960~1970년대생 사장 뒤를 맹추격 하고 있다. 80년대생 리더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교차기에 태어나 '전환기'를 만끽한 세대.
이들은 주력 소비층 또래 40대를 공략할 수 있는 차세대 CEO로 등장할 태세다. 이들에 대한 인사는 세대교체를 통한 조직 약진이 필요하다는 이유가 깔려 있다. 대표적인 오너 보험사 교보생명, 한화생명, 현대해상이 그렇다.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 겸 이사회 의장의 장남인 신중하 씨(43)가 입사 10년 만에 지난 11일 상무로 승진했다. 10여 년전만 해도 교보 자회사 과장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교보생명에 따르면 신중하 그룹데이터전략팀 팀장은 최근 인공지능(AI) 활용·고객의소리(VOC) 겸 그룹경영전략담당 상무로 승진했다. 1981년생인 그는 디지털 혁신과 경영전략을 총괄하는 리더다.
미국 뉴욕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외국계 투자은행(IB)인 크레디트스위스 서울지점에서 2년간 근무한 그는 2015년 교보생명 자회사 KCA손해사정에 입사한 뒤 2022년 5월 교보생명 차장으로 이동했다.
이후 그룹디지털전환(DT)지원담당, 그룹데이터전략팀장 등을 역임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본격적인 경영 승계라기보다 신창재 의장의 인재 기용 원칙에 따라 경영수업을 받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신중하 상무는 본격적인 경영 수업에 들어섰다. 이에 신창재 회장이 교보생명 경영 바통을 신 상무에 넘겨주는 청사진이 그려지게 됐다. 1958년에 설립된 교보생명은 독립운동과 교육보험이란 어젠다로 민족적인 금융사 이미지를 불어넣어왔다.
교보생명은 자금 조달을 위해 새 재무적투자자(FI)를 물색 중이며, 기업공개를 시도하고 지주사 전환을 준비 중이다. 이 과정에서 '민족적 보험사'에서 새 시대에 맞는 이미지 변신도 필요할 것이다. 언제까지 ‘민족성’ '국뽕'에 기댈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한화생명과 현대해상도 오너 3세가 전면에 자리했다. 모두 1980년대생인 데다 글로벌 사업 확장, 디지털 혁신 등 신사업을 개척해야 하는 공통점이 있다. 1985년생인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39)은 미국 예일대 동아시아학과를 졸업했다. 2016년 한화L&C에서 한화생명 사장으로 이동했다. 2019년 디지털 손해보험사 캐롯손해보험 설립을 주도하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시장 진출을 이끌었다는 평이다.
대표이사 여승주 부회장은 김동원 후계자에게 교육과 승진 등을 통해 경영실무 전반을 물려주고 있는 모양새다. 2004년 한화그룹 상무보로 입사한 여 부회장은 20여년한화그룹 요직을 맡은 '한화맨'이다. 한화생명과 한화투자증권 대표를 역임했다. 비록 보험 전문가는 아니지만 한화그룹 실정에 맡게 한화생명을 꾸려온 것으로 풀이된다.
![3세 경영자들이 젊은 나이에 최고경영자가 되어 ‘자리의 무게’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을까. 매사 판단해야 하며 조직을 이끌어 간다는 게 어디 하루아침에 될 일이 아니지 않는가.[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5785_657676_38.jpg)
정경선 현대해상 전무(38)는 1986년생으로, 고려대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뒤 지난해 12월 최고지속가능책임자(CSO)로 현대해상에 합류했다.
입사 전엔 소셜벤처 지원 비영리법인 루트임팩트, 사회적 가치 투자사 HGI 등을 설립하는 등 사회적 기업을 창업하는 등 독자적인 경영을 경험했다. 현대해상에서는 최근 중요해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주도하고, 디지털 혁신 작업을 수행 중이다. 30대 젊은 CSO로서 현대해상의 차세대 리더로 경영 수업을 또한 받는 셈이다.
이같은 보험사에는 '신구대립' 혹은 '세대교체'라는 키워드가 거론된다. 교보생명은 ‘올드맨’ 신창재 대표이사(1953년생)와 조대규 대표이사(1964년생)가 이끌고 있다. 한화생명은 여승주 대표이사 부회장(1960년생), 현대해상 조용일 대표이사 부회장(1958년생), 이성재 대표이사 사장(1960년생)가 진두지휘 중이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보험권 세대교체 바람이 당면과제라고 받아들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오너가문 젊은 경영자에 대한 우려를 보인다.
보험사는 매달 '짠내나는' 영업을 통해 실적을 달성하는 구조다. 오너 3세들이 이런 고달픈 영업에는 관심이 적다. 일부에서는 보험사 영업의 미래가 걱정이라고 3세 경영인들의 유약함을 지적한다.
특히 이들 3세 경영자들이 젊은 나이에 최고경영자가 되어 ‘자리의 무게’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을까. 매사 판단해야 하며 조직을 이끌어 간다는 게 어디 하루아침에 될 일이 아니지 않는가.
그래서 업계에서는 이들 젊은 경영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이들이 40대를 맞으면서 세상물정을 알 때가 됐다지만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는 재계의 속설을 고려할 때 젊은 시절에 총수가 된다는 것은 자칫하면 재앙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좋게 보이지 만은 않는다.
사회학에 따르면 1980년대생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교차기에 태어나 '전환기'를 만끽한 세대다. 청소년기에 서태지와 아이들, 신승훈, 이승환, H.O.T., 젝스키스, S.E.S., 핑클로 대표되는 1세대 아이돌 그룹들에 열광했다. 또 이전 세대가 겪던 배고픔과 가난을 모르고 경제성장의 풍요로움과 민주주의를 맘껏 누린 세대다.
금융권에서는 "오너가 자제들은 경영학 석사(MBA)를 밟은 미국파와 명문대 출신으로, 기업의 인수·합병(M&A), 디지털 등 폼 나고 멋진 일로 돈을 쉽게 버는 데만 관심을 쏟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주주 아버지가 아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는 것은 자본주의의 핵심가치로 논쟁이 필요 없다. 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3세들의 경영 대물림은 당사자는 물론이고 보험사 경영에 불행의 단초가 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여태껏 상당수 재벌들이 창업주에 이은 2세 체제에서 추락한 것만 봐도 검증 안된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는 게 얼마나 모험적인가. 가문의 오욕은 차치하고 수만명의 직원들, 국가 경제에게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주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기업은 소꿉장난 놀이터가 아니다.
물론 3세 오너들이 보신주의에 물든 전문경영인들보다 경쟁력도 많은게 사실이다. 오너로서의 책임감이 핵심이다. 또 정보력, 추진력, 변화와 환경에 즉각 대응하는 젊은 감각, 부모의 지지와 핏줄 등은 우월한 힘이다.
하지만 40대 3세들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철저한 경영수업을 거쳐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훈련 과정을 거치치 않고서는 좋은 핏줄을 타고났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 경영이 보장되는 게 아니지 않는가. 교보생명, 한화생명, 현대해상 등 오너 보험사가 새겨 들어야할 이야기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최근 인사를 단행한 현대해상에서 오너 3세쪽 젊은 리더와 기존 올드보이 간의 기싸움이 치열했다고 들었다"면서 "조직이 비대하기로 유명한 대형사 현대해상에서 젊고 빠른 80년대생 리더로서 승부를 보려했지만 경륜이 부족하고 실무지식, 조직 장악력까지 떨어지니 기존 올드보이 임원들이 잔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들은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대 창업주가 상생을 추구하고 열정을 쏟는 조직 분위기를 만들었다면 3세와 4세 자녀들은 실적 없으면 도려내는 구조조정 전문가로 행동하게 될 것"이라면서 "그렇다보니 늘 조직 내 풍파가 따르고 혼란과 줄서기 등 사내정치가 난무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이는 "오너가 자제 주변에는 돈 냄새 맡고 몰려든 ‘파리떼’들이 끊임없이 들끓는데 달콤한 유혹에 넘어가기 십상"이라며 "어설픈 혁신이 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 [보험썰] 이복현 원장, 이젠 보험사 대주주를 만나야 한다
- [보험썰] GA, 보험사에 선전포고…"종속되지 않는다, 주인 vs 주인으로 만나자"
- [보험썰] "무책임한 회계법인, '낙관·비관적 보험해지율 가정' 모두 인정"
- [보험썰] '낙관이냐, 보수냐'…금감원 해지율 개편에 손보사 '반대10' vs '찬성1'
- [보험썰] '역대급 제안' 메리츠화재의 MG손보 인수 셈법
- [보험직썰] "대형손보사 5곳 함께 사회적 기능"…MG손보 1/5씩 나누기?
- 금융당국 '환율급등 쇼크' 대응책 마련…은행·보험 건전성 완화 검토
- 이복현 금감원장, 모든 조직에 시장안정화 총력 당부
- 김병환 만난 외국계금융사 "증시변동성에 연기금 적극 나서야"
- 이창용 "최상목, F4 총사퇴 언급해 만류...일단 환율 1400원 아래 안정化"
- 금감원, 77년생 부서장 등장…금융권과 유착고리 끊고 '새 관계' 조성
- 글로벌 IB 만난 이복현 “韓 경제 기초체력 믿어 달라”
- 정치 리스크에 경제 흔들?…최상목 “경제정책 차질없는 추진 만전”
- 이복현, 블룸버그TV 출연…"밸류업 프로그램 지속"
- 금감원, 신임 부원장보 4명 임명…디지털·IT부문 신설
- 사흘째 F4 비상회의…최상목 "대외신인도 유지 노력"
- 보험대리점(GA) 브랜드평판 1위 인카금융·2위 굿리치·3위 에이플러스에셋
- [금융·보험 & NOW] 신용보증기금, 대한민국 동반성장 '대상' 수상 등
- 탄핵정국 금융시장 정비 나선 금감원 "보험사 내부통제 강화해야"
- "탄핵안 가결"…재계, 불확실성 완화 속 전략 마련 고심
- ['24 결산] AI 열풍 탄 재계…불확실성에 '핀셋 인사'·'新리더십' 승부수
- 삼성화재·KB손보 등 소비자보호 양호…동양생명·한화손해보험 보통
- [포토] '핑크빛 보험사' 흥국화재, 부산 취약층에 연탄 2천장 전달
- 재계, 국정 비상 속 경영계획 긴급 진단
- '삼둥이 이상 다태아 보험' 내년부터 가입 가능
- 보험大개혁 예고한 금감원 파격 인사…제2의 자살보험금 우려
- 금감원 "관상동맥 조영술·체외충격파 '수술보험금' 지급 안 돼"
- 금융당국 "보험판매 수당 공개" vs GA협회장 김용태 "설계사 이직 촉발"
- [포토] '산타보험사'가 된 현대해상, 구세군에 성금 2억원 전달
- '비만인이 주목할 보험사'…삼성화재, 비만치료 관련 서비스 배타적사용권 획득
- 김병환 "비상계엄에 놀라…헌법·법률 절차 따르면 시장 신뢰 회복"
- "연금 수령, 개시 늦을수록·퇴직급여 연금수령 기간 길수록 절세"
- [포토] '핑크배구' 흥국생명, 지구촌 어린이 위해 유니세프에 기금 전달
- '핑크보험' 흥국화재, ‘치매 근본치료 보장 특약’ 9개월 배타적 사용권…업계 최초
- 국내 1위 손보사 삼성화재,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 편입
- 보험업계 '3세 경영' 시작은 '디지털·글로벌·ESG'…본업은 복심이
- '先배당액 확정·後투자' 여부…내년부터 사업보고서에 기재해야
- "청소년 때부터 금융공부"…금융위, 고등학교 금융과목 선택장려
- 고위공직자 72명 재산공개…권남훈 산업연구원장 83억원
- ICC "풋옵션 시행해야할 신창재, 가격 산정해야…미이행시 매일 3억 강제지급"
- 증권가 “현대해상, 수년간 배당 기대하기는 어려워"
- "자영업자분들, 푸본과 함께해요"…푸본현대생명, 'with 푸본' 캠페인 확산
- 폭설 내린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 92%로 폭등
- [보험 & Now] 한화금융 계열 GA, 국내 3대 신용평가사서 ‘A+’ 신용 등급 획득 등
- 내년 실손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오른다
- 절세 컨설팅 해준다면서 'CEO보험' 가입 시켜…금감원 경고장
- 내년 정책금융 248조원 수혈…반도체 등 5대 중점분야 136조
- 세기의 분쟁…"어피니티·신창재 지분 합쳐 교보생명 매각시 최고가 받을 것"
- 野, 헌정사 첫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소추…한총리 직무정지·최상목 대행체제
- 예금자 보호 한도 5천만원서 1억원으로 상향…국회 본회의 통과
- 서민금융 마지막 보루…'대부' 연체율 13% 돌파 역대 최고
- 올해 마지막 외환거래일 오늘(30일), 1500원 돌파 여부에 촉각
- 내년 車보험료 조정 속도…당국 동결 권고 vs 보험사 인하 계획도
- [포토] 교보교육재단, ‘국민교육발전 유공 포상’ 국무총리 표창 수상
- [포토] 라이나생명의 일하는 방식은 특별하다?…‘WOW북’ 발간
- '제도변화 골든타임'…농협보험 인사, 안정·전문성에 방점
- 초개인화로 펫보험·미니보험 뜨지만… 세계는 '기후보험' 주목
- [신년사] 신창재 "보험업계 3중고…차별화된 '보장가치' 고객에 전달하자"
- "올해 불확실성 확대…보험사, 유동성·금리위험·회계관리 필요"
- [보험 & NOW] DB생명, 7대질병 건강보험 출시 등
- [단독] 어피니티 분쟁종결 나선다…교보 주식가치 평가기관 선정 착수
- [포토] 교보생명, 설계사 자녀 어학공부 '뒷바라지'
- 한국인 사망원인 1위 보장…농협손보, 뇌·심장 관련 보험 출시
- 한화손해보험, 미혼남녀 만남 위해 서울시와 협업
- 교보생명, 울산항에 투자하는 이유
- [포토] '광화문 명물' 교보생명 글판 선정에 새 문인들 합류
- 이복현 약발에 순해진 보험사…상생금융·계리가정 점검 팔 걷어
- 'K-상생보험'…고령자 우대금리, 설계사 상품추천사유·수당 밝혀야
- [포토] 73살 삼성화재 새로 태어난다…新정체성 '오늘을 지키며, 내일을 꿈꾸다' 발표
- "글로벌보험 한화생명, 외국인고객에 모국어 연하장 보내드려요"
- 30년 장기상품 파는데 1년 성과만 보는 보험사…당국, '경영진 보수' 손질
- 尹측근 두 인물 다른 길…열일하는 이복현, 딴생각하는 하태경
- 보험영업의 본산, 오렌지·푸르덴셜, 금융지주에 인수되더니…“변했네”
- '상장 재도전' 서울보증보험…"과점 지위 승부 vs 매년 수익 감소"
- "섬세해지는 보험"…여성·펫·모바일·청구 서비스 강화
- [픽처] 삼성금융파트너스, 보험GA협회 정회원 가입
- [픽처] '풋옵션 분쟁' 해결키 될까…신창재 교보 회장, 어펄마 투자금 상환
- 보험사 결산 갑론을박 “꿀배당 vs 고객 해약환급금준비금”
- [EBN 칼럼] 교보생명 주식 분쟁 일단락…전무후무한 비상장사 주당가치 고무줄 논란
- IMM PE "법원, ICC 판정 승인…교보 신창재 풋옵션 이행해야"
- '중견보험사 연봉도 1억 넘네'…삼성-메리츠-신한 순 높아
- 우리은행 보험사에 방카교육 갑질 관행…"문화개선으로 이제 근절"
- 이달부터 무·저해지보험상품 보험료 일제히 올라…최고 33%↑
- '똘똘한 팀장' 같은 부서장…이복현식 세대교체 인사 결말은
- 손보사 실적 ‘금·은·동’ 삼성·DB·메리츠 순…현대해상·KB손보 4·5위
- [보험직썰] 오너가 보험사 '가업승계'와 '보험계승' 그 사이
- 디지털보험사 '미니보험', 이제 '숫자'를 보여줄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