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김병환 위원장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5636_657456_2714.jpg)
외국계 금융회사 대표들은 10일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 주식시장 등의 단기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이 더 나서줘야 한다고 김병환 금융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말했다.
이날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지만, 경제문제만큼은 경제부총리 등 경제팀을 중심으로 일관되고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회의에는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 HSBC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 도이체방크, 소시에테제네랄, 맥쿼리, BNP파리바, SC증권, ING증권, IMC증권과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 등 주요 신용평가사 한국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글로벌IB 애널리스트들과 간담회[금융감독원 제공]](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5636_657457_2751.jpg)
이들은 이날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간담회에서 "이번 사태가 한국경제의 근간을 훼손하거나 지속적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속히 해소된다면 시장도 빠르게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김병환 위원장"시장안정을 위한 정부의 준비 태세는 확고히 유지되고 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자본시장 선진화 등 주요 정책과제들도 계획된 일정대로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외국계 금융회사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한국의 상황과 정부의 계획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 [현장] '개미 패닉셀' 자본시장…안정 찾을 수 있을까
- 계엄 쇼크에 ‘밸류다운’…거꾸로 가는 국내 증시
- 계엄 여파에 尹 골목상권 지원책도 '좌초 위기'
- '밸류업 선봉' 금융주, 탄핵 정국에 휘청…위기 대응 촉각
- 코스피, 1% 상승 출발…반발 매수세 유입
- 금융지주 등 업권별 CFO 금융위 소집…시장 안정 논의
- 탄핵정국, 유학생·여행객·투자자 날벼락…환율급등·여행취소·증시추락 '삼중고'
- 탄핵정국, 항공수요 견고…외환시장 안정 시 영향 제한적
- 계엄여파…증시 급락, 국내 금융시장 '블랙먼데이' 재현
- 탄핵 정국에 개인 1조원 순매도…코스피·코스닥 연저점 경신
- 편의점 ‘씁쓸한 특수’…계엄 사태 후 오히려 매출 는다
- 코스닥, 2020년 4월 이래 최저점…장중 620대까지 밀려
- 고환율에 건전성 우려…은행권 당분간 비상대응체제 유지
- “신약개발 비용 늘라”…치솟는 환율에 K-제약바이오 ‘긴장’
- 치솟는 환율에 車·조선해운 '눈치'···철강·항공 '한숨'
- [칼럼] 시대유감 '코로나-탄핵세대'
- 김병환, 주한 영국대사 만나 "시장 안정장치 견고"
- 한국자산관리공사, 부실PF 사업장 7곳 맞춤 지원
- 금융당국 '환율급등 쇼크' 대응책 마련…은행·보험 건전성 완화 검토
- 금융회사 대표이사 '책무구조도' 책임규명 판단절차 강화
- 패닉셀 상흔…그 많던 개미들은 어디로?
- [보험직썰] 80년대생 대표가 온다…오너家 책임감·경영시험·‘파리떼’도 들끓어
- '尹폭탄' 피해간 이복현 "尹탄핵, 예측 가능성 측면에서 '경제'에 낫다"
- 이복현 금감원장 “공백 없이 시장안정·현안에 최선…탄핵정국에 동요 말자”
- '삼둥이 이상 다태아 보험' 내년부터 가입 가능
- 보험大개혁 예고한 금감원 파격 인사…제2의 자살보험금 우려
- 금감원 "관상동맥 조영술·체외충격파 '수술보험금' 지급 안 돼"
- 금융당국 "보험판매 수당 공개" vs GA협회장 김용태 "설계사 이직 촉발"
- [포토]'기술과 금융의 만남'…기보·하나은행, 충청 기업 금융지원
- '비만인이 주목할 보험사'…삼성화재, 비만치료 관련 서비스 배타적사용권 획득
- '先배당액 확정·後투자' 여부…내년부터 사업보고서에 기재해야
- ICC "풋옵션 시행해야할 신창재, 가격 산정해야…미이행시 매일 3억 강제지급"
- 폭설 내린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 92%로 폭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