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대형 대부업체의 연체율이 13.1%까지 뛰어 역대급 최고치를 새로 썼다.
전반적으로 대출잔액이 감소하는 한편 담보대출 연체율이 17.3%까지 치솟았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자 연체율(원리금 연체 30일 이상)은 지난해 말(12.6%)보다 0.5%포인트(p) 오른 13.1%로 조사됐다.
2021년 말 6.1%에 불과했던 대부업체 연체율은 2022년 말 7.3%, 2023년 말 12.6%를 기록한 데 이어 13%를 돌파하면서 2010년 대부업체 연체율을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새로 썼다.
담보대출 연체율은 17.3%로 작년 말보다 0.3%p 뛰면서 연체율 상승세를 이끌었다. 신용대출 연체율도 8.8%로 0.9%p 뛰었다.

같은 기간 평균 대출금리는 13.7%로 0.3%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지난 2021년 법정 최고금리(24%→20%) 인하 이후 대형 대부업자의 개인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2021년 말 21.7%에서 2022년 말 20.0%, 2023년 말 18.5%, 6월 말 18.1% 등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대출잔액은 12조2천105억원으로 지난해 말(12조5146억원) 대비 2.4%(3041억원) 감소했다. 신용대출은 39.4%인 4조8천73억원, 담보대출은 60.6%인 7조432억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조달금리와 연체율 상승 등으로 대출잔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대부업체 이용자는 71만4000명으로 같은 기간 1만4000명(2.0%) 줄었다.
6월 말 기준 1인당 대출액은 1천711만원으로 지난해 말 수준을 유지했다.
금융당국은 "대부업은 정책금융상품을 제외하고는 서민 취약계층 등 저신용 국민들의 마지막 보루이기는 하다"면서 "대부업권의 업무행태 개선 및 국민 인식이 좋아지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당국은 서민금융 우수대부업자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저신용자 신용공급 노력이 지속되도록 유도하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기의 분쟁…"어피니티·신창재 지분 합쳐 교보생명 매각시 최고가 받을 것"
- [포토] 금감원, 22개 금융사와 공동 성금 15억9500만원 구세군에 전달
- [인터뷰] 유승완 사무관 "금융교육, 내년 선택과목 지정…'고딩'도 돈공부 시작합니다"
- 어피니티 '조단위 주식 재매입' 신창재…풋옵션 재원·우군 준비 됐을까
- "청소년 때부터 금융공부"…금융위, 고등학교 금융과목 선택장려
- 보험업계 '3세 경영' 시작은 '디지털·글로벌·ESG'…본업은 복심이
- [항공 & Now] 제주항공, 베트남 취항 10주년 등
- 보험大개혁 예고한 금감원 파격 인사…제2의 자살보험금 우려
- 中 게임 국내 시장 잠식 뚫고 엔씨, '저니 오브 모나크' 선전
- [보험직썰] 80년대생 대표가 온다…오너家 책임감·경영시험·‘파리떼’도 들끓어
- 교보생명, 3세 경영수업 가속화…장남 신중하 상무 승진
- [인사] 교보생명보험
- SK이노베이션, 고창 아동센터 도서관 개관…연말까지 15곳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