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
[제공=연합]

내년 자동차 보험료 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서민생활 형편을 고려해 동결을 감안하는 한편 보험업계는 2년 연속 인하로 손해율이 급등했다며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 중형 보험사는 내년 보험료를 내리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등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금융당국과 내년 자동차보험료 조정 계획을 논의 중이다.

대부분 보험사는 연말까지 손해율과 실적 동향을 고려해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업계에 따르면  11월 폭설로 인해 대형 4개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92.4%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6.1%포인트(p) 치솟았다. 

대형 4개사의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계 손해율은 82.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p 뛰었다. 통상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가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진다. 대형사의 경우 82%로 본다.

11월까지 누계 손해율은 삼성화재(82.2%), 현대해상(83.5%), KB손해보험(82.9%)이 모두 82%를 넘었다. DB손해보험은 81.2%를 기록했다.

통상 4분기에는 폭설 여파로 손해율이 나빠진다. 올해 연간 손해율은 1월 중하순께 확정된다. 

만약 연말 누계손해율이 악화된다면 보험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보험사의 상황이 더 뚜렷해질 전망이다. 

자동차보험 정비수가가 내년 1월부터 2.7% 인상되는 점도 보험사들에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보험 가입 차량이 사고가 났을 때 보험사가 지급하는 수리비로, 비용에 즉각 영향을 미친다.

이와 함께 내년 실손의료보험이 평균 약 7.5% 수준 인상되고, 특히 3세대는 평균 20%대, 4세대가 평균 13%대 상향될 것이라는 점과 은행권이 상생 차원에서 위기 자영업자 25만명에게 연간 7000억원, 3년간 2조원의 금융지원에 나섰다는 점은 향후 자동차 보험료 조정 협의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 새 회계기준인 IFRS17 시행 이후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 중인 손해보험사들은 당국의 상생 압박 속에 자동차보험료를 2022년 4월 1.2∼1.4%, 2023년 2월 2.0∼2.5%, 올해 2월 2.1∼3% 인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키워드
#자동차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