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두 해 동안 전국적으로 발생한 분양보증 사고 금액이 연이어 1조원을 넘어서며 국내 건설업계에 심각한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분양보증 및 사용검사 전 임대보증 사고 사업장은 총 17곳으로, 사고 금액은 1조1558억원에 달했다.
이 같은 수치는 최근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와 중소 건설사의 잇따른 경영 악화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부동산 시장이 호황기를 맞았던 2021~2022년에 단 한 건의 분양보증 사고도 보고되지 않았던 상황과 극명히 대조를 이룬다.
당시에는 업계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지만, 불과 몇 년 만에 극심한 변화가 나타난 셈이다. 특히 2020년에는 전국에서 단 8건의 사고가 발생하며 그 규모도 비교적 적은 약 2107억원에 머물렀다.
HUG는 수분양자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주택사업자가 의무적으로 분양보증에 가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공사나 시행사가 파산해 사업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HUG는 환급이행이나 분양이행 방식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한다.
환급이행은 계약금 및 중도금을 수분양자에게 반환하는 방식이며, 분양이행은 새로운 시공사를 선정해 공사를 이어가는 방법이다.
관련기사
- ‘트럼프 2.0’ 시대 성큼…K건설 앞날 ‘시계제로’
- '부산에코델타시티 대방 엘리움 리버뷰’ 8일 청약시작
- 우려가 현실로…신동아건설 결국 법정관리 신청
- ‘하자 논란’ 수습 나선 롯데건설…“입주 전까지 100% 보수” 약속
- ‘외국인 집주인’ 더 늘었다…열에 여섯은 중국인
- [신동아건설 법정관리①] 결과 뻔한데…부랴부랴 '오너 2세'에 경영 맡긴 내막
- '법정관리' 신동아건설, '검단신도시 파밀리에 엘리프' 청약 무효 처리
- [Constr. & Now] 반도건설 '안전보건방침 및 목표 선포식' 개최..."7년 연속중대재해 제로 목표" 등
- [Constr. & Now] 호반건설, '하도급 대금 10일 내 지급률' 1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