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중소벤처기업부]
[제공=중소벤처기업부]

정부가 2027년까지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3개 이상의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고 바이오벤처 기술 수출을 30조원 이상으로 끌어올려 세계 5대 바이오벤처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5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 장관 회의에서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은 국내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정부의 종합적인 전략을 담고 있다.

국내 바이오 기술수출 규모는 2021년 14조1000억원에서 2023년 8조원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 상반기에만 4조6000억원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중기부는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원천기술의 사업화와 투자 유치를 통해 기술 수출을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지식과 자본의 축적이 신약 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제약바이오벤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네 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유망 원천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한다. 바이오 스타트업을 밀착 지원하는 '컴퍼니빌더 트랙'을 도입하고 초기 기술사업화 로드맵 수립을 지원한다. 인천 송도에 조성되는 K-바이오랩허브를 산·학·연·병 협력의 중심지로 만들어 신약 개발을 위한 바이오벤처의 수요에 부응할 계획이다.

바이오벤처 투자환경도 조성한다. 선도·후보물질의 유효성, 독성 등을 검증하는 초기 투자에 건당 10억~20억원을 투자하는 벤처펀드를 신규로 조성한다. 국내 제약기업 14개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160억원 규모의 펀드와 일본 바이오 관련 분야 기업이 참여하는 300억~4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성화한다. 국내 제약기업과 바이오벤처 간의 협업 성공모델을 발굴하고 신약 파이프라인 공동개발 사업을 기획할 예정이다. 해외 기업, 대학, 연구소 등과의 협업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전주기 개방혁신을 지원한다.

바이오벤처 혁신 기반을 구축한다. 해외 실증과 분산형 임상을 추진해 국내 제도를 개선하고 클러스터 단위의 R&D, 임상 공동사업 추진 등을 통해 전략적인 글로벌 협력 기반을 마련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