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에너지 규제 완화와 무역체계 개편을 통해 미국의 경제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다만, 관세 부과를 통한 무역정책 전반의 개혁을 예고하면서도 구체적인 신규 관세 부과 조치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취임사에서 "나의 내각에 그들이 보유한 막대한 권한을 총동원해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고 비용과 물가를 신속히 낮추도록 지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석유·천연가스 시추를 전면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물가를 낮추고, 전략비축유를 다시 가득 채우며, 에너지를 전 세계로 수출할 것"이라며 "우리는 다시 부유한 국가가 될 것이며, 우리 발밑의 이 '액체 금'(석유)이 그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 정책에 있어서는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노동자와 가정을 보호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우리의 무역체계의 전면 개편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관세와 수입세, 외국의 원천에서 들어오는 모든 수입을 징수할 대외수입청을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우려와는 달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임사에서 즉각적인 신규 관세부과 조치를 언급하지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에 대해 "보편관세 및 중국 등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라는 선거 공약을 어떻게 이행할지를 두고 차기 행정부 내에서 여전히 격렬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취임식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팀 쿡 애플 CEO,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립자, 순다르 피차이 구글 모회사 알파벳 CEO 등 주요 기업 수장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들 빅테크 CEO는 내각 장관들보다 앞자리에 배치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기업우대정책을 시사한다는 해석이 나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