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AI 그래픽 DB]
[출처=EBN AI 그래픽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해당 지역에 생산 거점을 둔 한국 기업들이 일제히 비상태에서 돌입했다.

기업들은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생산 물량 조정을 비롯해 미국 내 생산 확대, 생산지 다변화, 우회 수출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멕시코는 인건비가 저렴하고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북미 수출에 최적의 입지로 꼽혔다. 현재 멕시코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전과 TV 등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25% 고율 관세가 현실화하면서 멕시코를 주요 생산 기지로 활용해온 국내 기업들도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삼성전자 등을 비롯한 일부 기업들은 재고가 쌓이지 않도록 멕시코 공장 가동률을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은 미국 현지 생산 강화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특히 가전제품은 현지에서 생산해 바로 판매하면 관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세탁기 공장에서 건조기까지 생산해 미국 내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TV, 냉장고 등 제품은 멕시코 대신 헝가리, 베트남 등에서 수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LG전자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생산하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냉장고 등도 만드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멕시코 가전 공장의 생산량은 줄이고 중남미 물량만을 소화하는 수준의 조정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차전지 업계는 캐나다 관세 부과에 주목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자동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손잡고 캐나다 온타리오에 합작공장을 세웠고 올해 양산을 앞두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제너럴모터스(GM)와 퀘벡에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철강, 알루미늄, 석유, 가스, 의약품 등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방침도 밝힌 만큼 한국의 주요 수출품이 영향권에 들어갈 전망이다. 이들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한국 수출은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관세 부과로 한국산 반도체의 가격 경쟁력이 하락하면 주요 고객인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명령이 우리 기업들과 경제에 미칠 영향이 클 수 있는 점을 감안해 관계 부처들이 관련국 동향과 우리 기업들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오후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주재하는 대책 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와 국내 기업·수출에 미치는 영향,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