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로 변경한 결과, 주변 상권의 평균 매출이 3.1%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출처=연합]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로 변경한 결과, 주변 상권의 평균 매출이 3.1%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출처=연합]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주말에서 평일로 변경한 결과, 주변 상권의 평균 매출이 3.1%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상권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온라인 유통의 성장 속에서 오프라인 매장이 여가 공간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3일 산업연구원이 공개한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의 신용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2022~2023년 동안 대구시와 청주시에서 의무 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바뀐 사례를 분석한 결과 주말 영업 시행으로 인해 요식업 분야에서는 약 3.1% 매출이 증가했다.

연구원은 "주말 대형마트 영업으로 인해 유동 인구가 늘면서 특히 요식업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유통 및 쇼핑 관련 업종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도 차이는 있었다. 대구 지역에서는 일부 업종에서 매출 증가 등 긍정적인 경제 효과가 있었지만, 청주 지역에서는 주변 상권 발달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변화는 감지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특별·광역시 지역처럼 유동 인구가 많은 곳은 일부 업종에서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주변 상권이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전했다.

산업연구원은 또한 "우려와 달리 의무 휴업일 주말 전환이 주변 상권 매출 감소를 초래하지 않았다"며 "대규모 유통점들이 외식과 문화 서비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로 고객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형마트와 전통 상권이 조화를 이루며 복합 상권을 형성하면 소비자들은 쇼핑뿐만 아니라 외식 및 여가 활동도 함께 즐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