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가 최근 이상 기후로 일부 식재료 가격이 급등한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 상승 여파로 수입 단가도 높아진 데 따른 원가 부담으로 인해 빵, 과자,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식품업계가 최근 이상 기후로 일부 식재료 가격이 급등한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 상승 여파로 수입 단가도 높아진 데 따른 원가 부담으로 인해 빵, 과자,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소비자가 장을 보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연초부터 식품업계가 빵·과자·음료·커피 등 다양한 식료품에 대한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민들의 소비가 위축될 우려가 있지만 식품업체들은 원자잿값 상승과 고환율에 따른 원가 부담 등을 이유로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아라비카 원두는 지난 6일 t(톤)당 8905달러(1288만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아라비카 커피 가격은 일주일 만에 8%, 한 달 새 27% 올랐다.

초콜릿의 주원료인 코코아 국제 선물 거래가격도 지난해 톤당 1만1675달러(한화 약 1690만원)로 전년 대비 172% 폭등하며 원자재 중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빵, 과자에 들어가는 팜유 가격도 전년 대비 18% 올랐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은 최근 1450원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어 식품업체의 원가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먼저 대상은 지난달 16일 후추와 드레싱, 마요네즈 등 소스류 제품 가격을 평균 19.1% 올렸다.

프랜차이즈업계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폴바셋은 지난 1월 23일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200∼400원 인상했고, 스타벅스코리아는 지난달 24일부터 톨 사이즈 음료 22종 가격을 200∼300원 올렸으며 할리스도 같은 날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다.

이달에도 식품기업들의 가격 인상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SPC 파리바게뜨는 이날부터 빵 96종과 케이크 25종 가격을 평균 5.9% 올린다.

롯데웰푸드는 오는 17일부터 초코 빼빼로를 기존 1800원에서 2000원으로 인상하는 등 26종 가격을 평균 9.5% 올릴 예정이다. 빙그레도 다음 달 더위사냥, 붕어싸만코 등 아이스크림과 커피, 음료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 인상할 계획이다.

식품업체들이 앞다퉈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게 된 이유는 원재료값과 원·달러 환율 상승에 기인한다.

식품사들은 커피, 코코아, 과채 농축액 등의 가격이 치솟은 데 더해 최저임금 인상과 에너지 비용 증가까지 겹치면서 원가 부담이 가중됐다. 환율 상승도 수입 원재료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이익률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속 매출은 성장하는 데 반해 수익성이 악화해 이익이 감소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롯데웰푸드는 국제 카카오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원가 부담으로 인해 지난해 영업이익(1571억원)이 전년 대비 11.3% 급감했다. 롯데웰푸드의 영업이익률은 2023년 4.4%에서 작년 3.9%로 감소했다.

풀무원(2.9%), 오뚜기(7.4%·작년 3분기 누적 기준)의 영업이익률도 한 자릿수에 그쳤고, 2021년 10%였던 스타벅스 영업이익률은 4~5%대로 곤두박질쳤다.

정부의 식료품 가격 통제가 느슨해진 것도 한몫을 차지한다.

그동안 정부는 줄곧 식품사들과 간담회를 열고 물가 대책 마련을 위한 제품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해왔다. 기업들도 장기간 지속되는 고물가 여파에 따른 소비자들의 고통을 분담하는 취지에서 정부 측 입장을 대체로 수용했다.

하지만 올해는 정부 차원의 가격 인상 자제 압박이 상대적으로 덜한 상황이다. 식품업체들은 이때를 틈타 이익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가격 조정에 줄줄이 나선 것이다.

식품사가 통상 원재료를 3~6개월간 비축했다가 생산에 투입한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 현재 치솟는 원자재 가격은 추후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동시에 한동안 가격 인상을 이을 가능성이 크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품 가격 안정을 위해 원재료 등의 수입 다변화 노력에도 불구, 환율 상승으로 가격이 점차 오르고 있다”며 “여기에 인건비와 물류비 등 제반 비용도 증가하면서 제품 가격 인상 카드가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