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판매되는 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3012_665707_4528.jpg)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판매되는 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5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현황을 점검한 결과, 총 1336건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이 중 577건은 처음 적발된 사례였으며, 나머지 759건은 재유통되다 시정 조처된 것으로 나타났다.
처음 적발된 사례를 품목별로 분석하면 음식료품이 155건(26.9%)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전·전자·통신기기(149건·25.8%)와 아동·유아용품(84건·14.6%)이 뒤를 이었다. 음식료품의 리콜 사유는 주로 유해 물질 및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89건·57.4%), 이물질 함유(28건·18.1%), 부패 및 변질(25건·16.1%) 등이었다.
가전제품과 전자기기는 전기적 요인에 따른 문제가 40건(26.8%)으로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아동 및 유아용품은 부품 탈락이나 삼킴 위험 등 질식 위험으로 인해 리콜 조치된 경우가 전체의 38.1%(32건)를 차지했다.
리콜 제품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305건 가운데 중국산 제품이 절대 다수를 기록했다. 중국산 제품은 총 191건(62.6%)으로, 가전제품 관련 리콜 건수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했다(85건·44.5%). 아동용품과 생활용품도 각각 46건(24.1%), 28건(14.7%)로 큰 비중을 보였다.
미국산 제품도 일부 포함되었으며, 생활화학제품 관련 리콜이 가장 많았다(10건). 그 뒤를 가전제품과 음식료품이 따랐다.
해외에서 리콜된 물품의 국내 유입 차단 건수는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차단 건수가 전년도보다 약 35% 늘어나며 기록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문제 제품들은 오픈마켓 구매 대행이나 전문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들어온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원은 최근 중국계 직구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 등에서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해외 리콜 물품들의 국내 재유통 경로가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원은 해외직구 플랫폼을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하고 '해외 위해물품 관리 실무협의체'와 협력하여 감시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소비자들에게는 해외직구 또는 구매대행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나 소비자24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제품이 리콜 대상인지 반드시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 中 알리바바 3년간 75조원 투자…마윈 'AI 굴기' 전면 나서
- 알리바바, AI·클라우드에 75조원 투자…中 민영기업 최대
- 패딩 90% 할인?…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쇼핑몰 주의보
- "직구쇼핑몰 '먹튀' 사기급증…인스타·유튜브 연결 67% 달해"
- 티메프 '상품권·해피머니' 피해 집단조정 개시
- 테무, 獨 소비자 감시 기관 슈티프통 바렌테스트 평가…‘좋음’ 등급 획득
- 한국소비자원 “양모 이불솜 제품마다 최대 세 배 차이”…총량 표시 권고
- C커머스 격전지 된 韓…테무·알리 전면전 양상
- 中 알리 ‘인해전술’ 먹혔다…1년새 국내 패션 매출 38배↑
- 소비자원 “맥주 효모‧비오틴 함유 제품...탈모 예방 도움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