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영입된 사외이사를 보면 교수 등 학자 출신은 2019년 48.2%에서 올해 38.2%로 감소했다. 관료 출신은 12.5%에서 23.6%로 증가했다.  [출처=EBN AI 그래픽 ]
신규 영입된 사외이사를 보면 교수 등 학자 출신은 2019년 48.2%에서 올해 38.2%로 감소했다. 관료 출신은 12.5%에서 23.6%로 증가했다. [출처=EBN AI 그래픽 ]

올해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는 6년 전 대비 관료 출신은 늘고 학자 출신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국내 50대 그룹 주요 계열사에서 사외이사를 의무 교체하는 기업 중 지난 7일까지 이사회소집결의서를 제출한 42곳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자본시장법상 같은 회사에서 사외이사로 재임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은 6년이다. 2019년에 이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한 사외이사는 올해 주주총회 전 의무적으로 교체하거나 공석으로 둬야 한다. 

42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올해 임기를 모두 채운 사외이사는 56명이고, 이들의 후임으로 영입된 인물은 53명이다.

SK하이닉스, 두산퓨얼셀, 에코프로비엠 등 3개 기업이 사외이사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이사회 규모는 약 5% 줄었다. 

신규 영입된 사외이사를 보면 교수 등 학자 출신은 2019년 48.2%에서 올해 38.2%로 감소했다. 관료 출신은 12.5%에서 23.6%로 증가했다. 이는 연구자보다 현직에서 규제와 정책을 담당한 공직자를 선호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고위공직자 중에서도 장·차관급 인사는 2019년 2명에서 올해 8명으로 4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장·차관급을 영입한 기업은 삼성생명보험(구윤철 전 기재부 2차관 및 국무조정실 실장), 삼성중공업(김상규 전 조달청장 및 감사원 감사위원), 삼성E&A(문승욱 전 산업부 장관), 삼성바이오로직스(이호승 전 기재부 1차관 및 대통령실 정책실장) 등 삼성 계열사가 다수 차지했다. 

학자 출신 중에서는 재무·회계를 포함한 경영학 관련 교수가 71.4%로 다수를 차지했고, 이공계열 분야 교수는 28.6%로 파악됐다.

여성 사외이사는 2019년 5.4%에서 올해 7.3%로 소폭 증가했다. 현대차, SK바이오팜, 한진칼, LG헬로비전 등에서 여성 사외이사를 새로 뽑았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이번 조사와 관련해 "올해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중 약 70%는 다른 회사의 이사회에 속하지 않는 참신한 인물로 채워졌다"고 분석했다.

한편 앞서 금융당국과 은행연합회, 5대 금융지주가 금융회사 이사회 역량 강화를 위해 힘을 모은다. 이복현 금감원장과 이준수 금융연수원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과 금융지주 회장들은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금융연수원에서 사외이사 양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종희 KB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지주 회장, 이찬우 NH지주 회장, 고석헌 신한지주 전략부문장 부사장이 이 자리에 참여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