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년간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은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일부 입점사에 대한 판매대금 정산이 늦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출처=발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3/1656922_670193_593.jpg)
최근 수년간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은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일부 입점사에 대한 판매대금 정산이 늦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정산대금을 입금하지 못했다.
발란은 입점사별로 일주일, 15일, 한 달 등 세주기로 입점사의 판매대금을 정산하는데 당일 정산 주기가 돌아온 입점사에 대금을 제때 주지 못한 것이다. 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원 안팎이며, 전체 입점사 수는 1300여개다.
이와 관련해 발란은 해당 입점사에 "자체 재무 점검 중 정산금이 과다 지급되는 등의 오류가 발견돼 정산금을 재산정하고 있다"고 개별 공지했다.
그러면서 "26일까지 재정산 작업을 마무리하고 28일까지는 입점사별 확정된 정산액과 지급 일정을 공유하겠다"고 했다.
현 상황에 대해 발란 측은 아직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발란의 경영과 관련한 의사 결정권을 쥔 최형록 대표는 현재 회사 주요 임원과도 연락이 잘 닿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란 관계자는 "현재 관련 이슈의 정확한 경위를 파악 중"이라며 "미정산 문제와 관련한 판매자 불안을 불식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발란-실리콘투, 전략적 투자유치 마무리…글로벌 명품시장 공략 속도
- 명품 플랫폼 발란, 실리콘투로부터 150억원 투자 유치
- 발란, 럭셔리 가구·리빙사업 본격 진출…유럽 하이엔드 브랜드 입점
- 발란도 뷰티시장 진출…럭셔리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속도낸다
- 발란, 고이비토와 중고 명품 사업 전략적 제휴
-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변동성 불확실성 크지만 기회는 이럴 때 있다"
- 여전한 ‘티메프 사태’ 그림자…유통街 ‘과잉투자’ 문제 수면위로
- 정산지연 발란 "이번 주 실행안 확정…다음 주 대면 설명"
- 홈플러스, 임원 급여 지급 법원 승인 요청
- [속보]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 ‘대금 미정산’ 발란, 사실상 영업 중지…실리콘투 ‘믿는 도끼에 발등’
- 트렌비, 파트너 선정산 실시…어려움 겪는 파트너사 지원
- 중고 명품 플랫폼 구구스, 고객 ‘사전 정산’ 서비스 확대
- 명품 플랫폼 1위 발란, 결국 회생절차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