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57485_670866_351.jpg)
서울시는 1일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 정비사업에서 조합원과 집행부 간 갈등이 ‘정비사업 코디네이터’의 중재로 일단락됐다고 밝혔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는 정비사업이 지연되거나 갈등을 겪고 있는 지역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법률 등 관련 분야 전문가(1개 조 2~5명)를 파견해 현장을 진단하고, 사업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통해 문제 해결을 돕는 제도다.
현장에는 ‘찾아가는 상담소’도 운영돼 사업 절차 안내와 법률 상담이 병행된다. 이들은 단순 자문을 넘어, 갈등이나 사업 정체 요인에 대한 조정 및 중재 역할까지 수행한다.
대조1구역 재개발사업은 시공사가 설계 변경과 특화 설계 등으로 1776억원, 공사 중단과 공기 연장, 물가 상승 등으로 1,995억원을 추가 요구하면서 총 3771억원의 공사비 증액을 주장했고, 이에 따라 일반분양 및 준공 지연 우려가 커진 상황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1월 5일 해당 구역에 코디네이터를 투입했다. 시·구·조합·시공사 간 회의를 지속적으로 주선하며 이견을 조율한 끝에, 조합의 적극적인 협의와 시공사의 양보가 맞물리며 합의에 도달했다.
최종 증액 규모는 2566억원으로 조정됐으며, 지난 3월 29일 관련 의결을 완료했다.
2012년 도입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는 지난해 총 15개 정비사업 구역에 파견됐다.
특히 지난해 8월 미아3구역과 안암2구역, 12월 역촌1구역, 올해 1월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3월 말 대조1구역까지 총 8개 사업장에서 실질적인 합의 도출 성과를 거뒀다. 현재도 천호1구역, 노량진6구역 등 6곳에서 중재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