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 회장 [출처=포스코홀딩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4/1661049_675129_3743.jpg)
포스코홀딩스가 총 7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채권을 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채권은 5년 만기 4억 달러 규모, 10년 만기 3억 달러 규모로 구성된 글로벌 그린본드다. 특히 포스코홀딩스가 지주회사 체제 전환 이후 글로벌 채권을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린본드는 ESG채권 중 하나다. 전기차, 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향상 등 환경보존에 기여하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때 활용된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그린본드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에너지소재 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4월 2일 미국 트럼프 관세 부과 발표 이후 글로벌 채권시장 불안정성 확대로 발행 여건이 우호적이지 못한 상황에서 한국 기업으로는 최초로 5년 및 10년 장기물 발행에 성공하며 안정적인 미래성장 투자 재원을 확보했다.
최초 제시금리는 5년물의 경우 미국 국채 5년물 금리에 180bp를 가산했으며 10년물의 경우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에 200bp를 가산해 제시했다.
수요예측 결과 291여개 기관이 참여해 66억 달러에 달하는 주문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포스코홀딩스는 발행규모를 7억 달러로 확정했으며 최종 가산금리는 각각 137.5bp, 157.5bp로 결정했다.
최종 투자자는 지역 별로 아시아 64%, 유럽 15%, 미국 21%가 배정되었고, 유형 별로는 자산운용사가 71%, 은행 13%, 보험사 및 기타 투자자가 16%를 배정받았다. 본 발행에는 글로벌 대형 보험사와 자산운용사들이 참여한다.
투자자 다변화 및 양질의 투자자 유치에 성공하며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철강 및 에너지소재사업 우려 속에서도 포스코홀딩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S&P와 무디스는 올해 3월 포스코홀딩스의 건전한 재무비율 등을 고려해 채권 신용등급을 기존과 동일한 ‘A-‘와 ‘Baa1’로 각각 부여한 바 있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이번 그린본드 발행을 위해 올해 3월 지속가능 금융 관리 체계(Sustainable Financing Framework)를 새로 정립했다"며 "또한 다수의 글로벌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ESG경영전략, 에너지소재 사업 투자 계획 및 성장전략 등을 소개했다"고 말했다.
- 포스코, CO₂포집·LNG 신소재로 장영실상 수상…친환경 제철 선도
- 포스코홀딩스, 1분기 영업익 5680억원…전년比 1.7%↓
- 포스코-현대차, 美 투자 '동맹'…제철소ㆍ이차전지 공급까지 '투트랙 공조'
- 포스코·현대제철, '이해관계 일치' 美 공조 체제 가동은
-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탄소 절감 철강 위해 글로벌 협력 확대해야"
- 포스코홀딩스, 산업계 '미래 광물' 기술 개발 나서
- 트럼프 2기 100일…IT·게임업계, 지도 반출·관세에 당혹
- 타이어 빅3, ‘관세·원자재’ 리스크…각 사 생존 전략은
- 포스코, 철강업계 부진 속 ‘나홀로’ 선전
- "EV 전략 적중" 로터스車, 2024년 1.2만대 판매…전년비 74%↑
- 쇳물에서 항공유까지…포스코·LG화학, 탄소 활용 신기술 실증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