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현대차그룹의 미국 제철소 건립에 투자한다. [출처=Chat GPT]
포스코가 현대차그룹의 미국 제철소 건립에 투자한다. [출처=Chat GPT]

포스코그룹이 현대자동차그룹과 손잡고 미국 현지 제철소 투자에 나선다. 동시에 이차전지소재 공급망 협력도 강화하며, 철강과 배터리를 아우르는 미래 모빌리티 핵심 소재 동맹을 구축한다.

21일 포스코그룹과 현대차그룹은 서울 강남 현대차 사옥에서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 상호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포스코는 현대제철의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건립에 참여한다.

이번 제철소 투자로 포스코는 현대차 북미 생산거점에 고급 철강재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자동차사 대상 공급 확대를 위한 발판도 마련하게 된다. 이를 통해 포스코그룹은 지난 10여년간 보호무역장벽으로 제한되었던 북미 철강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Posco-Mexico)을 비롯해 북미(미국/멕시코)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완성차사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서도 양사는 전략적 공조에 나선다.

포스코그룹은 리튬, 양·음극재 생산부터 리사이클 기술까지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기반으로, 현대차그룹에 고품질 배터리 소재를 공급하게 된다. 이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과 캐즘(Chasm) 이후 전환기에 대비한 장기적 대응 전략의 일환이다.

포스코는 남미 리튬 염호 확보, 양극재 생산 공장 운영 등에서 이미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차의 친환경 모빌리티 기술과 결합해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안정적 공급망 구축에서도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력은 포스코 장인화 회장 체제 아래 추진 중인 ‘완결형 현지화 전략’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 기조에 따른 결실이다.

특히 철강소재와 이차전지소재를 양축으로 글로벌 전환기에 선제 대응하려는 포스코의 전략적 행보가 가시화됐다는 데서 주목된다.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은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통상압박과 패러다임 변화에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등 그룹사업 전반에 걸쳐 지속성장 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