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마트노조 안수용 홈플러스 지부장이 홈플러스 사태의 철저한 진상 규명과 MBK 김병주 회장의 즉각 소환 등을 촉구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지난 7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마트노조 안수용 홈플러스 지부장이 홈플러스 사태의 철저한 진상 규명과 MBK 김병주 회장의 즉각 소환 등을 촉구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홈플러스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을 둘러싸고 노동조합과 상인단체, 시민사회가 참여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와 사측 간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공대위는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실질적 책임을 요구하며 회생계획안 철회 또는 수정 요구를 밝히고 있고, 사측은 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전국 공동대책위원회가 본격적인 행동에 돌입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를 중심으로 구성된 공대위는 지난 9일 서울과 부산에서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기업회생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대위는 이번 회생절차를 '의도된 기업 안락사'라고 비판하며 △노동자 고용 보장 △입점업체 보호 대책 마련 △투기자본 규제 입법 △국민연금 등 공적자금 유입 차단 등을 핵심 요구로 제시했다.

마트노조 관계자는 "MBK는 수년간 자산을 유동화해 수익을 회수해 놓고, 책임은 회피하고 있다"며 "회생계획안에 실질적인 고용 보장 방안과 입점업체 생존 대책이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측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매출 구조 악화와 수익성 저하로 인해 점포 효율화와 인건비 절감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생계획안에는 일부 점포 매각과 인력 재배치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는 공대위의 요구와는 정면으로 배치된다. 

실제로 MBK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부동산 자산 매각과 리츠(REITs) 설립 등을 통해 상당한 투자금 회수를 진행해왔다.

공대위는 이를 '전형적인 먹튀 경영'이라고 규정하고, 국회와 정부가 사모펀드의 기업 인수 구조에 대해 규제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회생계획안은 오는 6월3일까지 법원에 제출될 예정으로, 이를 기점으로 갈등이 폭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공대위는 오는 23일 부산 아시아드점 앞에서 지역 시민대회를 시작으로 청문회 개최, 김병주 MBK 회장 자택 앞 집회, 천막농성, 범국민 서명운동 등 전국적 행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서울지역 공대위는 MBK 본사 앞에서 매일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단순한 노사분규를 넘어 사모펀드 투자구조의 투명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까지 쟁점이 확대되면서 정치·사회적 파장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정부와 법원의 판단이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