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369_677753_5511.jpg)
국민들이 가장 크게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은 단연 '물가'였으며,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최우선 과제 역시 '물가 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9일 밝혔다.
■"살림살이 팍팍"… 고물가가 가장 큰 고통
민생경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과반(53.5%)이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선택했다. 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이 뒤를 이었다.
한경협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초반대로 유지되고는 있으나, 누적 기준으로는 여전히 국민들이 체감하는 고물가 수준이 높은 상태"라고 분석했다.
실제 소비자물가지수가 개편된 기준연도(2020년=100)를 기준으로 보면, 직전 4년(2016년~2020년)간 상승률은 4.4%(지수 95.78→100)였으나, 이후 2020년부터 2025년 4월까지는 무려 16.4%(지수 100→116.38)나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369_677754_561.png)
■"물가 안정이 민생회복 1순위"…전 세대 공감
국민들이 바라는 민생경제 회복의 최우선 과제로도 '물가 안정'(60.9%)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30대(56.3%)부터 50대(64.9%)까지 전 세대에서 '물가 안정'이 공통된 1순위 과제로 지목됐으며, 특히 50대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물가 안정을 제외할 경우 20대 이하(23.0%)와 50대(19.3%)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30대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각 16.9%)을 상대적으로 많이 선택했다.
한경협은 "신규 취업 및 재취업 수요가 많은 20‧50대, 결혼 후 주택 구입 시기에 있는 30대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했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5/1663369_677755_5642.png)
■민생 회복 위해 필요한 정책은?
국민들이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높았다. 이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 및 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 및 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안정(7.8%) 등이 뒤를 이었다.
민생 회복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가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는 △첨단산업·신성장 동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 및 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고용 확대(20.0%)가 비슷한 비율로 꼽혔다. 반면 △공공·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6.4%)는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주거 안정(3순위) 분야에서는 △주택 공급 확대 및 부동산 시장 안정화(36.3%)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이어 △전‧월세 가격 안정 및 세입자 보호 강화(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 확대(16.1%) △주택금융‧세제지원 확대(13.2%) △도시 재생 및 주거 환경 개선(6.7%) 순이었다. 특히 주택 공급 확대에 대해 수도권 거주자(39.6%)의 기대가 비수도권(33.5%)보다 높았다.
■지역경제·취약계층 정책 방향도 확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우선 정책으로는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31.4%) △지역 관광 및 전통시장 활성화(23.1%) △혁신기업 유치(20.1%) 등이 꼽혔다.
소상공인·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으로는 △내수 활성화 및 판로 지원(27.1%) △세제 감면 및 경영 부담 완화(25.8%) △금융지원 및 대출 부담 완화(25.4%)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의 장기화로 국민의 경제적 고통이 심화되고 있다"며 "식료품·생필품 가격 안정, 유통구조 개선,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등을 통해 체감 물가를 낮추는 한편, 민간 중심의 고용 여력을 확충해 가계 소득창출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 "탄소중립이 발목 잡는다"…기업 10곳 중 6곳, '규제'로 체감
- 'AI 혁신포럼' 내달 개최…반도체·양자기술 실전 전략 제시
- "AI·음악 투자 스타트업 도전기"…한경협, 기업가정신 TALK 라이브 개최
- 8개 부처 공동 추진…2025년 ‘지역활력타운’ 10곳 신규 선정
- 소상공인, 매출↓ 폐업↑…이재명ㆍ김문수, 금융 지원 공약
- 축산물 등급판정 물량 증가…한우·돼지 도축 늘고 달걀 생산도 활발
- 'AI 시대 디지털 주권과 사이버 안보' 세미나...27일 여의도 FKI타워
- "사이버 무기는 국가 권력"…美 백악관 출신 뉴버거, 민관 협력 강조
- 축산물품질평가원, 이력번호 표시 지원사업 추진
- 복합위기 속 통상환경…민관협력 통한 전략적 대응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