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5674_680477_275.jpg)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총리 후보자와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임명에 박차를 가하면서 국토교통부 초대 장관 인선에도 이목이 쏠린다. "세금으로 집값 잡는 일은 하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발언 이후, 새 정부의 공급 중심 부동산 정책을 이끌 적임자에 대한 기대감은 한층 높아지고 있다.
9일 정치권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국토부 장관 후보군에는 정치인 출신과 학계 전문가가 나란히 거론되고 있다.
정치인 중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맹성규, 문진석, 윤후덕, 조정식 의원 등이 물망에 올랐다.
3선의 맹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국토부 2차관과 교통물류실장, 종합교통정책관 등을 거친 '교통 정책통'으로 평가받는다.
재선의 문 의원은 현재 국회 교통위원회 간사로 활동하며, 이 대통령과 중앙대 동문인 동시에 측근 그룹 '7인회' 멤버로 알려져 있다.
4선의 윤후덕 의원도 주목받는다. 윤 의원은 이번 대선 캠프에서 선대위 정책본부장을 맡았던 핵심 측근으로,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정책 공약을 담당한 '정책통'이다.
이밖에 국토위에서 꾸준히 활동한 한준호 의원(재선), 국토부 2차관 출신의 손명수 의원(초선), 20대 국회 국토위원장을 역임한 조정식 의원(6선) 등도 거론된다.
비정치권 인사로는 김세용 고려대 교수와 이창경 가천대 교수가 후보군에 올랐다.
김 교수는 과거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 사장을 지내며 민주당 정부의 공공주택사업을 이끌었으며, 이 대통령과 국정 철학을 공유하며 시장 정상화를 추진할 전문가로 꼽힌다.
이 교수는 지난 2021년 제20대 대선 캠프에서 부동산개혁위원장을 맡아 부동산감독원 설치와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등을 설계했으며, 이번 대선에서도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의 부동산 특별위원회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부가 공급 확대와 PF 자금난, 지방 미분양, 7월 DSR 3단계 대출 규제 등 산적한 현안을 해결해야 하는 만큼, 정책 추진력과 실무 능력을 고루 갖춘 인사가 필요하다는 평가다. 인사청문회 통과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정치인 출신이 유력하다는 관측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