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091_682097_558.jpg)
국내 기업 절반 이상이 한일 경제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앞으로도 양국 간 협력 관계를 지속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일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매출 상위 1000대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응답 기업 101개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 중 56.4%가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60년간의 경제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매우 촉진 7.9%+다소 촉진 48.5%).
![[출처=한국경제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091_682100_566.png)
경제 발전에 기여한 협력 분야로는 △기술 이전 및 협력(53점) △일본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35점) △관광·문화 산업 발전(29점) △소재·부품·장비 등 공급망 안정화(27점) 등이 꼽혔다.
향후에도 한일 경제협력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2.4%(매우 필요 20.8%+다소 필요 41.6%)에 달했다. 협력이 불필요하다는 응답은 3.0%에 불과했다. 특히 응답 기업의 88.1%는 경제협력을 위해 안정적인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한경협은 "기업들의 높은 공감대를 확인했다"며 "양국 간 생산적인 협력이 이어질 수 있도록 안정적인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기업들은 반도체·AI를 양국 간 유망 협력 산업으로 지목했다. 일본과 협력 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산업은 △반도체(91점) △AI(57점) △자동차(39점) △바이오·헬스케어(32점) △조선 및 배터리(각 26점) 순으로 조사됐다.
한일 경제협력 방식으로는 보호무역주의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69점)이 가장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어 △공동 연구 및 인재 육성(R&D 협력·52점) △정상급 교류 확대(46점) △제3국 공동 진출(36점) 순으로 중요성이 높게 평가됐다.
한경협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현지 시각 7월 9일 예정)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기업들이 통상 리스크에 공동 대응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일본과 협력 관계를 유지 중인 기업(61개사) 중 42.7%는 일본과의 협력이 비즈니스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협력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거나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16.4%, 1.6%에 그쳤다.
또 일본과 협력 중인 국내기업 중 절반(49.2%)은 일본을 다른 국가로 대체하기 어렵거나 대체에 3년 이상이 걸린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대체가 어렵다는 기업이 21.3%, 3년 이상 소요된다는 기업이 27.9%였다. 1~3년 소요된다는 기업도 26.2%로 나타났다.
![[출처=한국경제인협회]](https://cdn.ebn.co.kr/news/photo/202506/1667091_682101_5631.png)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국제정세와 통상질서 재편 속에서 한일 경제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올해는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양국 협력이 한 단계 도약할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조사를 통해 우리 기업들의 협력 수요를 확인했다"며 "한경협은 첨단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경제 영토 확장을 적극 지원하고, 일본경제단체연합회와의 파트너십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