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재 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이 5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정부는 7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1차로 전 국민에 최소 15만에서 최대 45만원 상당의 소비쿠폰을 지급 후 소득 선별 절차를 거쳐 9월 22일부터 국민의 90%에 10만원을 추가로 지급할 예정이다.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69846_685344_1541.jpg)
정부가 오는 21일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가운데 유통업계의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사용처에 포함된 편의점 업계는 매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지만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사용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울상을 짓고 있다.
9일 행정안전부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 1인당 15만~45만원 규모의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사용처는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학원, 의원 등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운영 매장으로 제한했다.
유통 대기업 소속 편의점의 경우 본사 직영점은 제외되나 가맹점(연 매출 30억원 이하)은 사용처에 포함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편의점 업계는 소비쿠폰 사용처에 포함된 것을 업황 회복의 전환점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실제 과거 사례를 보면 소비쿠폰은 편의점 매출 상승에 직접적인 효과를 발휘한 바 있다. GS리테일에 따르면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된 직후 GS25 사용액은 △4월 102% △5월 214% △6월 169% 등으로 급증했다. 이번에도 생필품·간편식·음료 중심의 소비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영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소비쿠폰의 5% 수준이 편의점으로 유입될 것으로 추산한다”면서 “이에 따라 기존점의 매출 회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면 대형마트와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은 사용처에서 제외되면서 실질적인 매출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홈플러스 직원 대표 기구인 한마음협의회는 “과거 재난지원금에서 배제됐을 당시 매출이 최대 20% 감소했다”며 이번 조치 역시 비슷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형마트는 특히 정부가 소비쿠폰 사용은 제한하면서 할인 행사 등 이른바 ‘서민 겨냥 정책’은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이중적 행보에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7일 물가안정 방안의 일환으로 대형마트 중심의 할인 행사를 발표한 바 있다.
과거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포함됐던 일부 SSM도 이번에는 제외되면서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다만 식자재마트에 한해 비수도권 지역에서만 소비쿠폰 사용을 허용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이를 두고 소상공인연합회는 “소상공인 경기 활성화와 지역경제 선순환이라는 본래 목표를 훼손하고 정책 효과를 반감시킬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냈다.
배달앱을 통한 소비쿠폰 사용도 사실상 제한적이다. 원칙적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배달원이 가맹점의 결제 단말기를 갖고 대면 결제를 진행할 경우에만 허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가 많지 않아 현실적으로는 소비 분산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업계 전반에선 ‘선별적 지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모든 유통 채널이 침체돼 있는 상황”이라며 “소비쿠폰 효과가 산업 전반으로 퍼져야 내수 진작이라는 정책 목표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