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생성 이미지. [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07/1670824_686504_2739.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미국 수입 의약품 관세를 이달 말에 부과하겠다고 언급하면서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파장이 예상되고 있지만 국내 업계 반응은 예상외로 침착하고 무덤덤한 분위기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미국이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의약품에 최대 20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1년간 준비기간을 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15일(현지시간)에는 입장을 바꿔 “이르면 이달말부터 부과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낮은 관세로 시작해서 1년간 미국 내 생산라인을 건설할 시간을 부여한 뒤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란 말도 덧붙였다. 의약품 관세를 단계적으로 인상하겠단 뜻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이 자국 내 의약품 제조를 강화하고 해외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의지를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는 재임 시절부터 ‘미국산(Made in USA)’를 강조해 왔으며 이번 정책은 그 연장선이다.
해외 생산 비중이 높은 다국적 제약사들은 이번 발언의 가장 큰 타격 대상이다. MSD, 화이자, 일라이 릴리와 같은 빅파마(거대 제약사)들은 주요 의약품을 인도, 중국, 아일랜드 등 미국 외 국가에서 제조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 수출 비중이 높다. 이에 법안이 통과될 경우 관세 부담이 상당히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비교적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의 초반 발언 당시에는 업계 전반에 일시적인 긴장감이 돌았지만 현재는 “이미 준비를 마쳤다”는 분위기다.
물론 국내 기업들의 대응이 신속했던 배경에는 미국 수출 구조의 차이가 있다. 한국 제약사들은 완제품을 대량으로 미국에 직접 수출하기보다는 기술 수출(라이선스 아웃), 위탁생산(CMO), 공동 개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해 왔다.
이들 대부분은 미국 내 파트너사가 현지에서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어 직접적인 관세 부과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한국 생산시설을 통해 고부가가치 의약품을 제조하는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미국 현지 생산 기반을 가진 다국적 제약사와의 협업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 트럼프의 정책 발언이 실제 입법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여부도 예상하기 어렵다. 시장에서는 관세 25%를 예상하고 있는데 아직 관세율 확정된 것도 아닌 만큼 지금 단계에서 과도한 해석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약사의 미국 제조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지만 관세는 최종 확정된 것이 아니고 즉시 발효되는 것도 아니다”라며 “중장기적으로 공급망 재편과 미국 내 생산투자가 본격화될 수 있겠지만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정책 신뢰도가 낮아지고 있어 시장에서는 ‘말’보다는 ‘행동’을 기다리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