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생성 이미지. [출처=오픈AI]
챗GPT 생성 이미지. [출처=오픈AI]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의약품에 최대 2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글로벌 제약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업계에서는 “미국 제약시장 구조와 제조 현실을 고려할 때 제네릭(복제약)에 대해서는 실제 시행 가능성이 낮으며, 관세 부과는 결국 ‘협상용 카드’ 성격”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에 의약품에 적은 관세(small tariff)를 부과하지만 1년에서 최대 1년반 안에 150%, 그 다음에 250%까지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까지 예고한 관세 인상안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일각에서는 “전례 없는 조치”라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이 현재 부과하는 의약품 관세는 평균 15~25% 수준이며 한국산 의약품의 경우 실제 부과 시 15%를 넘지 않는 선에서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업계에서는 오리지널 의약품 보다 제네릭 의약품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국 의약품 시장은 고가 신약과 저가 제네릭이 공존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 내 처방전 기준 약 90% 이상이 제네릭 의약품으로 채워진다.

이 구조 덕분에 미국은 신약의 높은 가격을 유지하면서도 대다수 환자들의 실질 의료비 부담을 낮출 수 있었다. 미국의 의료 시스템은 ‘비싼 신약과 싼 제네릭의 균형’ 위에 서 있는 셈이다. 

다만 제네릭은 특허 만료 이후 낮은 제조원가를 기반으로 대량 공급되는 구조기 때문에 인건비가 높은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수익성을 맞추기 어렵다. 

이에 따라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 제네릭 가격이 오르고 이는 곧 미국 의료비 전반 상승으로 이어진다. 결국 미국이 유지해온 시장 논리가 무너질 수 있다.

또 빅파마(거대 제약사)들은 이미 미국 내 생산 자립화를 위해 설비(Capa) 투자와 기술 이전(Tech Transfer)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 상황에서 250% 관세 부과 방안은 이미 대규모 미국 내 생산 투자를 마친 빅파마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치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하는 의약품 250% 관세 부과는 실현 가능성보다는 정치적 협상 레버리지 성격이 짙다”며 “초기 의약품 관세는 작은 관세부터 시행됨을 언급했으며 제네릭 관세 부과는 구조적으로 미국 내 생산이 어려워 가격 급등 및 공급망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 헬스케어 시스템이 저가 제네릭을 통해 신약의 높은 가격을 상쇄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정치적으로도 실현 가능성이 낮다”며 “현재로서는 발표된 수치에 과도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하고 대응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관세에 대한 대응을 준비하고는 있지만 과도하게 해석하지는 않고 있는 분위기다. 국내 기업 일부는 미국 내 공장 설립이나 증설을 검토 중이지만 관세 정책 발표를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기 보다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조심스럽게 움직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관세에 대한 정확한 조치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당장 과잉 반응하기보다는 법적·정치 변수와 시장 불안을 모두 고려한 대응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며 “이는 일부 기업만이 아닌 해외로 진출하려는 기업들 대부분 비슷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