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소비쿠폰이 지급된 첫 주간 동안 편의점 업계가 뚜렷한 매출 상승세를 기록했다. [출처=세븐일레븐]
정부의 소비쿠폰이 지급된 첫 주간 동안 편의점 업계가 뚜렷한 매출 상승세를 기록했다. [출처=세븐일레븐]

정부의 소비쿠폰이 지급된 첫 주간 동안 편의점 업계가 뚜렷한 매출 상승세를 기록했다. 특히 가맹점 비중이 높은 편의점은 백화점·대형마트와 달리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해 소비자 유입 효과를 제대로 누렸다.

29일 편의점 4사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매출과 방문객 수가 전월 같은 기간(6월 24~30일) 대비 일제히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마트24는 매출이 10% 이상 뛰었다고 밝혔으며, GS25도 “객단가가 평균 10%가량 상승했다”고 전했다.

객단가 증가의 배경에는 ‘편의점 장보기’가 있다. 본래 7000원 수준이던 1인당 구매 금액은 소비쿠폰 사용과 함께 2만~3만원대로 상승했다. 중장년층과 가족 단위 쇼핑객의 방문이 늘었고, 출입구에 비치된 바구니를 들고 대량 구매에 나선 고객도 눈에 띄게 많아졌다.

매출 증가가 가장 뚜렷한 품목은 주류와 담배다. 특히 맥주는 GS25가 31.7%, CU 29.2%, 세븐일레븐 30.0%, 이마트24 20.0%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30% 안팎의 성장세를 보였다. 소주 역시 GS25와 CU에서 각각 16.2%, 12.4% 늘었고, 전체 주류 매출도 10% 이상 상승했다.

소비기한에 구애받지 않는 특성 탓에 담배 소비도 급증했다. 편의점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 갑 단위가 아닌 보루 단위로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었다. 다만 일부에서는 담배 재판매, 이른바 ‘담배깡’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민감한 품목인 만큼 편의점 업계는 담배 관련 정확한 매출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외에도 건강기능식품, 식사 대용식, 고기류와 계란·과일 등 신선식품, 쌀과 생필품까지 소비 품목이 다양해졌다. CU 관계자는 “생필품 중심의 장보기 고객 증가로 전반적인 구매 단가가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이번 소비쿠폰 효과를 계기로 편의점의 장보기 채널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1~2인 가구 증가로 ‘편장족’이 늘던 상황에서 소비쿠폰이 힘을 보탰다”며 “편의점에서 장보는 소비 패턴이 확고해지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소비쿠폰 사용이 막힌 직영 중심의 백화점·대형마트 업계는 고객 이탈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일시적 현상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에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