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픽사베이]](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4732_691078_114.jpg)
새 정부가 소액주주 권익 강화를 기조로 내세운 가운데, 국내 주요 상장사들의 자사주 소각 건수와 규모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논의가 본격화되자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집계에 따르면 지난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이후 이달 14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가 공시한 주식 소각 결정은 총 45건으로, 전년 동기(30건) 대비 50% 증가했다.
소각 예정 주식 수는 1억4천527만주, 금액으로는 5조837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4076만주·2조2122억원)보다 각각 256%, 164% 증가한 수치다. 금액 기준으로는 2.6배 규모 확대다.
기업별로는 HMM이 8180만주(2조1432억원) 소각으로 가장 컸으며, 신한지주(1154만주·8000억원), KB금융(572만주·6600억원), NAVER(158만주·3684억원), 기아(388만주·3452억원), 현대모비스(107만주·3172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공시에서 공통적으로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정책 확대”를 목적으로 제시했다.
국내에서는 그간 자사주를 매입해도 소각하지 않고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논란이 이어졌다. 이에 정치권은 상법 개정을 통한 소각 의무화를 검토 중이다. 재계는 경영권 방어가 약화될 수 있다는 이유로 우려를 제기했으나, 한편에서는 한국 증시의 만성 저평가를 해소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소각 발표가 이어지는 점에 주목한다. 안지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정책 기조가 모멘텀으로 작용했다”며 “소각 발표 직후 단기적 주가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 만큼 공시 현황을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올해 들어 8월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의 자사주 소각 공시는 177건, 총 4억1530만주, 18조2854억원 규모에 달한다. 이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기업들이 주주환원 강화 정책에 적극 호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