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재정 위기에 빠진 티몬의 회생계획안이 23일 서울회생법원에서 강제 인가됐다. 이로써 신선식품 배송 전문기업인 오아시스가 티몬을 인수할 수 있게 됐다.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8/1675597_692095_2014.jpg)
서울회생법원이 티몬의 회생절차 종결을 결정했지만 피해기업과 소비자들이 체감할 보상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검은우산비상대책위원회는 22일 입장문을 내고 "서울회생법원이 밝힌 '96.5% 변제'라는 표현은 사실과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며 "실제 전체 채권 중 변제 대상으로 확정된 것은 고작 0.75%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이번에 언급된 '96.5% 변제'는 전체 채권이 아닌 확정된 0.75%의 일부 채권에 한정된 수치다. 따라서 전체 채권의 99% 이상은 여전히 변제되지 않은 상태이며 다수의 판매자 미정산금과 소비자 환불금은 여전히 지급되지 않았다.
비대위는 "회생 종결이 피해 회복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피해자들은 여전히 보상과 구제에서 소외돼 있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이번 사태의 책임이 전적으로 경영진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구영배 전 티몬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이 여전히 책임을 피한 채 일상을 누리고 있다고 비판하며, 엄정한 처벌을 촉구했다.
또한 정부의 미온적 태도도 도마 위에 올랐다. 비대위는 "사태 발생 1년이 지났지만 정부는 피해 구제의 근본적 해결은커녕 초기 약속조차 지키지 않았다"며 "피해자 보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와 구체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티몬을 인수한 오아시스 등 기업 역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피해기업과 소비자 보상 문제를 정면으로 대응할 것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티몬의 회생절차만 종결됐을 뿐, 위메프와 인터파크는 여전히 회생 절차가 진행 중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신정권 비대위원장은 "회생법원 내에서 티몬의 회생은 종결됐지만, 피해자들의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며 "사태가 구조적으로 해결되고 피해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목소리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96.5% 변제라는 단어가 피해자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주고 있다"며 "사회적 약자가 더 이상 소외되지 않도록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