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 플랫폼 위메프가 인수자를 찾지 못해 파산 위기에 몰리자, 미정산 피해자들이 법원에 회생 절차 연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출처=연합]
온라인 쇼핑 플랫폼 위메프가 인수자를 찾지 못해 파산 위기에 몰리자, 미정산 피해자들이 법원에 회생 절차 연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출처=연합]

온라인 쇼핑 플랫폼 위메프가 인수자를 찾지 못해 파산 위기에 몰리자, 미정산 피해자들이 법원에 회생 절차 연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1일 티몬·위메프 피해자들로 구성된 검은우산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지난달 29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 연장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일(9월 9일)이 임박했지만 인수 협상이 결렬되면서 위메프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위메프 청산 시 피해자 구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티몬 사례에서 0.75%라는 낮은 변제율로 많은 이들이 좌절했다"며 "위메프는 청산 가치조차 없어 파산으로 간다면 피해 복구율은 0%로 확정된다"고 밝혔다.

또한 "티몬 사태의 본질은 단순한 경영 실패가 아니라 구영배 전 큐텐그룹 대표 등 관련자들의 사기·배임·횡령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부가 민생 차원에서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단 1%의 가능성이 남아 있다 해도 회생 절차를 이어가는 것이 피해자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40만명이 넘는 피해자들을 위해 정부가 새로운 인수 방안을 모색하거나, 필요하다면 직접 인수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파산 시 소비자와 중소상공인 누구에게도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부가가치세 환급조차 신속히 이뤄지지 않는 현실에서 파산은 실익이 전혀 없다"며 "설령 연장이 1~2개월에 불과하더라도 철저한 관리·감독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티몬과 위메프는 지난해 7월 말 대규모 미정산·미환불 사태로 나란히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다. 티몬은 새벽배송 전문기업 오아시스에 인수되며 지난달 22일 회생 절차를 종결했지만, 위메프는 여전히 새 주인을 찾지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법원이 회생 절차 폐지를 권고하고 파산 수순에 들어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