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이후 본격화될 관세 리스크는 K-푸드가 단순한 가성비 상품인지,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를 가르는 중대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7871_694707_150.jpg)
한국 식품업계가 상반기 미리 선적한 재고 물량으로 관세 충격을 최소화했지만 9월 이후부터는 미국발 관세 부담이 소비자 가격에 직접 반영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로 이어지는 미국 최대 성수기가 겹치면서 K-푸드 소비자들의 지갑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9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이는 단순한 기업 실적 차원을 넘어 현지 소비자층별 수요 양상과 K-푸드의 글로벌 브랜드 가치가 시험대에 오르는 분수령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한류 팬층은 가격 인상에도 구매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드라마·케이팝을 통해 라면·과자·소스류에 익숙해진 이들에게 K-푸드는 단순한 소비재가 아니라 ‘문화적 경험’으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아시아계 교민층 역시 가격보다 접근성과 품질 유지 여부를 중시해 수요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일반 미국 소비자는 가격에 민감해 중국·동남아 대체재로 이동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겹친 상황에서 K-푸드가 ‘가성비 제품’으로 인식될 경우 수요 이탈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대형 유통망의 전략도 주목된다. 월마트·코스트코 등은 지금까지 관세 부담을 흡수하며 가격을 동결했지만 재고가 소진되는 이달 이후에는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미국 소비 시장의 최대 성수기가 오는 4분기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프로모션을 강화해야 하는 시기에 가격을 인상하면 양날의 검이 될 수 있어 유통업체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세 국면은 K-푸드 브랜드의 글로벌 위상을 시험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식품업계 관계자는 “소비자가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한국 식품을 택한다면 프리미엄 가치가 오히려 강화될 수 있다”며 “결국 대체 불가능한 브랜드 경험을 심어주는 것이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업계는 현지 생산 확대와 공급망 다변화로 구조적 리스크를 줄이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일부 기업은 미국 내 공장 증설과 원재료 현지 조달을 추진 중이며, 이는 단기적 비용을 넘어 장기 경쟁력 확보 전략으로 평가된다.
동시에 정부 차원의 통상 외교와 제도적 지원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물류비, 비자 문제, 통상 협상 불확실성이 겹쳐 있는 만큼 정부가 미국과의 협상력을 강화해야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