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위 국감 증인으로 출석한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左)와 송희영 포스코이앤씨 대표(右)[출처= 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1930_699426_531.jpg)
정부의 산업재해 제재 강화로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주요 건설사 최고경영자들이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이제 안전이 곧 생존의 기준"이라며 위기의식을 드러냈다. 단순한 사과를 넘어 경영 방향 자체를 '안전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선언이 이어졌다.
13일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는 포스코이앤씨,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HDC현대산업개발 등 대형 건설사 대표들이 증인으로 줄줄이 출석했다. 정부가 지난 7월부터 산재 반복 기업에 영업이익의 최대 5% 과징금, 등록 말소까지 가능하도록 제재를 강화한 이후, 첫 공개 무대였다.
가장 먼저 입을 연 이는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였다. 송 대표는 "중대재해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며 "사고가 또 발생한다면 회사의 존립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절박함으로 모든 현장을 멈췄다"고 말했다. 그는 취임 직후 한 달간 전 현장을 중단시키고 외부 전문가의 안전 점검을 받았으며, 안전이 확보된 뒤에야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단기 손실보다 중요한 건 신뢰 회복"이라며 "회사를 다시 세우는 첫 단추는 안전"이라고 덧붙였다.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역시 "안전이 담보되지 않으면 그 어떤 사업도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사고가 줄지 않는 현실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기업이 모든 책임을 다했는지 냉정히 돌아보겠다"고 했다. 다만 "현장 관리자와 근로자 모두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 속에서 법적 책임만으로 문제를 해결하긴 어렵다"며 보다 정교한 제도적 검토를 요청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조태제 최고안전책임자(CSO)는 "광주 붕괴 사고로 회사 전체가 얼마나 큰 타격을 받았는지 뼈저리게 느꼈다"며 "작은 부주의도 대형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전 프로세스를 전면 재정비 중"이라고 밝혔다.
세종안성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 이후 대표로 선임된 현대엔지니어링의 주우정 사장도 "안전과 품질은 이제 생존의 최소 조건"이라며 "모든 현장에서 '멈춤 점검'과 '사전 리스크 관리'를 일상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회 산업재해 관련 질의에서는 "사고 후 대책보다 예방 중심으로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여야 의원들은 "사고 이후 책임 공방이 아니라, 기업이 위험을 감지하고 선제적으로 멈출 수 있는 제도적 안전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설업계는 이번 국감을 계기로 사실상 '생존형 안전 전환'에 들어간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제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회사가 존재할 수 있는 최소 조건"이라며 "정부 제재보다 더 큰 압박은 내부의 불안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