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에센의 한 금상점에서 금괴가 저울 위에 놓여 있다. 세계적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이 귀금속에 관심을 보이면서 금 현물 가격이 처음으로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했다. [출처=연합뉴스]
독일 에센의 한 금상점에서 금괴가 저울 위에 놓여 있다. 세계적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이 귀금속에 관심을 보이면서 금 현물 가격이 처음으로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했다. [출처=연합뉴스]

달러 약세와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속에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4200달러선에 근접했다.

은 가격도 1980년 미국 '은파동' 당시 고점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금 현물 가격은 전날 오후 기준 온스당 4190.90달러까지 상승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 12월 인도분 금 선물 역시 4190달러선을 터치했다. 올해 들어 금값 상승률은 약 57%에 달한다.

전통적으로 금은 위험 회피 자산으로, 증시 등 위험자산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나, 최근에는 풍부한 유동성과 인플레이션 영향, 채권의 역할 약화 등 복합 요인으로 증시와 동반 상승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은 현물 가격은 온스당 53달러를 기록해 연초 대비 72% 상승했다. 이는 1980년 1월 헌트 형제의 대량 매집으로 발생한 '은파동' 당시 기록했던 최고치를 넘어선 수준이다. 당시 헌트 형제는 은이 금에 비해 저평가됐다고 보고 대규모 매입을 통해 시장을 독점했고, 은값은 온스당 50달러까지 치솟았다가 정부 개입으로 급락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은 가격이 온스당 53달러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안전자산 선호가 급증하면서 상승세가 더욱 강화됐다"고 전했다. 또 "런던 시장에서 발생한 역사적 규모의 숏 스퀴즈(공매도 반대매수)가 은값 급등의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런던의 유동성 부족 우려가 전 세계적인 은 매수세를 촉발했고 뉴욕 시장의 벤치마크 가격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급등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