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 강화로 인해 미국 제약·바이오 업계의 로비 활동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오픈 AI]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 강화로 인해 미국 제약·바이오 업계의 로비 활동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오픈 AI]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 강화로 인해 미국 제약·바이오 업계의 로비 활동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제약사들은 관세, 약가 인하, 리쇼어링(해외 생산시설의 미국 내 이전) 등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천억원 규모의 로비 자금을 집행했다.

29일 워싱턴 포스트 등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9개월간 미국 바이오제약산업을 대표하는 52개 주요 기업과 관련 기관이 총 3억3400만 달러(한화 약 4787억8900만원)를 로비 자금으로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3% 증가한 수치로, 이 중 24개사의 지출액만 1억6100만 달러에 달했다.

미국에서 제약 및 보건산업은 전통적으로 로비 활동이 가장 활발한 분야로 꼽힌다. 로비스트들은 정부 및 보건당국과의 소통을 통해 약가 정책, 의약품 시장 독점권, 식품의약국(FDA) 규제 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대관 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올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최혜국 약가(MFN, Most Favored Nation)’ 인하 정책에 대한 대응이 집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상원의 ‘로비 공개법 데이터베이스(Senate Lobbying Disclosure Act Database)’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미국제약협회(PhRMA)는 업계 중 가장 많은 2949만 달러(한화 약 422억7981만원)를 로비에 사용했다.

화이자는 9월 30일 트럼프 대통령과 최혜국 약가 인하 정책에 합의하고 미국 내 7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직후, 올해 3분기에만 270만 달러를 로비에 사용했다. 올해 9월 말까지의 누적 로비 금액은 약 107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5% 급증했다.

이어 아스트라제네카는 올해 9월 말까지 440만 달러 이상을 로비에 지출했으며, 3분기만 놓고 보면 약 14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2024년 같은 기간 로비 금액은 230만 달러 수준이었다.

한편 미국의 ‘생물보안법(Biosecurity Law)’ 타깃으로 거론되는 중국계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도 로비를 강화하고 있다. 우시앱택(WuXi AppTec)은 올해 9월 말까지 107만 달러,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는 56만 달러를 지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각각 80만 달러, 34만5000달러에서 크게 늘어난 규모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및 약가 규제 강화가 글로벌 제약사들의 이해관계를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며 “앞으로 대선 국면에서 제약 로비는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