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생성이미지. [출처=오픈AI]](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6189_704181_2113.jpg)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한층 강화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심경이 복잡하다.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대의에는 공감하지만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상 온실가스를 줄이기 어렵다는 근본적 한계 때문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지난 10일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53~61% 감축하는 새로운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확정했다.
이는 2015년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이 5년마다 제출하는 10년 단위 감축 계획으로 국무회의 심의 절차만 남겨둔 사실상 확정안이다.
내년부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상 기업이 배출할 수 있는 총량은 25억3730만 톤으로 정해졌다. 이전 계획(30억4825만 톤) 대비 16.8% 감소한 수치로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탄소 예산’이 83%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부족한 배출권은 시장에서 구매해야 하며 이는 비용 부담으로 직결된다.
이에 따라 제약바이오 업계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우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 타 산업보다 훨씬 불리한 구조를 갖고 있어서다.
제약바이오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제조업 평균의 3~4배 수준에 이른다. 매출액 대비 배출량으로 따지면 4배 이상 많다. 그러나 ESG 보고서나 배출량 공시 비율은 매우 낮아 국제 기준에 비해 투명성도 떨어지는 실정이다.
실제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매출 증가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대부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23만3709톤을 배출해 전년 대비 6.4% 늘었고, 셀트리온은 7만9174톤으로 전년보다 3.5% 증가했다. 한미약품은 17.2%, 대웅제약은 22.3% 오르며 배출량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공정 비효율 때문은 아니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안전성·품질·규제 준수가 최우선이다. 생산설비의 변경이나 공정 혁신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 해도 규제 심사와 검증 과정이 길고 까다롭다.
또 무균실, 멸균 청정, 온·습도 유지 등 필수적인 공정 환경 유지가 막대한 전력을 소모한다. 즉, 제약공장은 기본적으로 ‘에너지 집약적’ 산업이라 탄소 감축의 가장 큰 제약 요인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에도 글로벌 시장은 ESG 경영을 강화하는 추세다. 유럽과 북미의 글로벌 제약사들은 이미 재생에너지 전환, 바이오 기반 원료 사용, 순환형 패키징 등 다양한 기술적 대안을 실험 중이다.
하지만 국내 업계는 여전히 걸음마 단계다. 다수 기업이 자체적인 감축 목표조차 설정하지 못했으며, 일부는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조차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글로벌 기업보다 국내 기업들이 빠르게 시도하지 못하고 있는 건 막대한 자금의 차이가 크다.
이에 업계에선 단기적으로 감축 목표를 맞추기보다는 장기적인 기술 혁신과 구조 개선을 위한 정부와 산업계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도 제약바이오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감축 인센티브와 맞춤형 제도 설계를 검토해야 함께 기후위기를 벗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의약품은 기본적으로 화학 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제품이라 생산이 늘수록 공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도 함께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 등의 제도가 함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제약·바이오 지원’ 팔걷은 정부… ‘AI 신약 개발 가속’ 기대↑
- 제약바이오협회, 복지부 ‘K-AI 신약개발 모델개발사업’ 총괄기관 선정
-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 상대 전직금지 소송 2심 패소
- 환절기가 반가운 제약사들…감기·비염약 판매 공 들인다
- "中 의약품, 희토류 이어 미국 대상 무역 무기 가능성" 경고
- '2025 바이오미래포럼' 개최…AI·바이오 융합생태계 논의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말레이시아 정부 대표단과 제약 협력 논의
- 글로벌 무대 휘젓는 K-바이오…기술수출 역사 새로 쓴다
- 대웅제약, K-AI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역이행 연구 설계 모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