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채권시장이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미국 채권시장이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미국 채권시장 참가자들이 이번 주 발표될 고용지표를 포함한 주요 경제 데이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속도를 가늠할 핵심 지표들이 쏟아질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번 데이터 발표는 10월 초부터 이어진 미 정부 셧다운 종료로 가능해졌다. 특히 오는 21일(현지시간) 공개될 9월 고용보고서는 연준이 올해 세 번째 금리 인하에 나설지 여부를 결정할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정부 통계 공백기 동안 시장은 민간 기관 자료에 의존해 경기 흐름을 판단했다. ADP 등 민간 데이터는 일자리 증가세 둔화를 보여주며 연준이 9월과 10월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하는 배경이 됐다. 그러나 이번에 공개될 정부 공식 통계가 예상보다 강한 고용 증가를 나타낼 경우, 연준의 인하 기조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JP모건의 포트폴리오 매니저 프리야 미스라는 "노동시장이 생각보다 안정적일 경우 시장의 12월 금리인하 기대는 낮아지고, 채권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4.14%에서 4.25%로 오를 경우 매수 기회로 본다고 덧붙였다.

올해 미 국채는 고용 둔화와 무역전쟁 여파로 안전자산 수요가 늘면서 약 6% 상승했다.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인하 조치가 경기 부양책이 아니라 "과도한 긴축이 성장을 멈추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적 조치"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금리선물시장은 12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50% 이하로 낮춰 반영하고 있다. 일부 연준 인사들이 인하를 확정적으로 보지 않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채권시장 변동성은 4년 만의 저점에서 반등했다.

브랜디와인글로벌의 잭 맥킨타이어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경제 데이터의 신뢰도와 시의성에 따라 연준이 금리를 내리지 않을 수 있다"며 "우리는 미국 국채에 대해 중립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도입된 관세를 대법원이 무효화한 판결 등이 경기 회복을 자극할 가능성은 있지만, 연준이 완화 기조를 유지하는 한 금리 상승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

J.P.모건의 국채 투자자 설문에서도 4월 이후 최대 순매수 포지션이 나타났고, 최근 발행된 10년·30년물 입찰 수요도 평균 수준을 유지했다.

DWS 아메리카스의 조지 카트람본은 "고용과 성장 지표가 강하게 반등하지 않는 이상 단기물과 장기물 금리가 현 구간을 벗어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노동부는 11월 고용보고서를 포함한 일부 지표의 구체적인 발표 일정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셧다운 여파로 자료 정리에 시간이 걸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예상 밖의 고용 반등이 없다면 연준은 당분간 완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10년물 금리 4% 안팎에서 박스권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