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TV 방송화면)


코오롱생명과학에 대해 식약처가 강수를 뒀다. 그러나 코오롱생명과학과 더불어 식약처에 대한 비난도 끊이지 않고 있다.

28일 식약처는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를 인정했던 것을 번복하고 법에 코오롱생명과학의 행태에 대한 판단을 맡기기로 결정했다 밝혔다. 코오롱생명과학은 거짓으로 둔갑한 성분 약으로 삼천 여명이 넘는 이들을 홀렸다. 더욱이 수백만원을 호가함에도 꿈의 치료제로 여겨졌던 바다.

하지만 이 파렴치한 행태가 벌어진 데에는 코오롱생명과학 뿐 아니라 식약처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 여론 의견이다. 관련 효능이 증명되지 않은 생리식염수와 인보사를 비교한 데 이어 2차 중앙약사심의원회에서는 1차 때 반대했던 위원 3명이 배제되고 위원 5명을 추가로 참여시킨 정황을 두고 일각으로부터 허가를 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냐는 의혹을 받았다. 이는 식약처와 제약회사 간 유착 또는 심사위원과 제약회사 간 유착 가능성을 불렀던 바다. 일각에서 거론하는 코오롱생명과학과 심사위, 식약처 등의 유착이 없었다고 해도 식약처는 부실 검증에 대한 비판을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이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정부가 코오롱생명과학의 관련 약 개발에 세금 52억을 지원한 것이 이같은 일을 초래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을 두고 2004년 황우석 교수에 기대어 일부 의료기관과 바이오벤처가 벌인 사기극을 논하는 이도 적지 않다. 그때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라는 지적은 바로 식약처의 허가에 있다며 국가가 허가를 내줬다는 점에서 이보다 더 큰 망신이 없다고 지적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