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픽사베이]](https://cdn.ebn.co.kr/news/photo/202411/1642785_654060_228.png)
트럼프 시대가 다시 열리면서 제약바이오 산업에도 변화의 조짐이 생기고 있다. 트럼프 당선의 영향으로 금리부터 관세까지 크고 작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는 만큼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업계에선 단기적으로는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에도 상당한 압박이 될 가능성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업황의 전반적인 개선과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기대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미국 대선 이틀만에 금리를 내렸지만 내년부터는 그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연준은 지난 7일(현지시간) 이틀간 진행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75~5.0%에서 4.50~4.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금리는 내달 한번 더 인하될 것이란 게 시장의 예상이지만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내년부터는 흐름이 바뀔 수 있다. 트럼프가 관세 인상과 이민자 추방 등 공약이 실제로 실행되면 물가 불안을 자극할 수 있고 결국 연준은 다시 금리 인상 기조로 선회할 수 있단 예상 때문이다.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도 금리가 인상되면 영향을 받는다. 업계에선 당분간 금리 상방 압박이 찾아올 가능성이 높지만 추후 재차 안정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실 금리보다 더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관세와 환율이다.
트럼프는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보호무역주의에 중심을 두고 움직인다.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적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 등에 고율의 보복성 관세를 부과해 무역 수지 적자를 개선하는 게 목표다.
우리나라는 수출 의존도가 높고 대미·대중 비중이 모두 크기 때문에 거시 경제 전반에 충격이 불가피하지만, 제약바이오는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관세 이슈'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바이오 기업은 지적 재산권을 바탕으로 로열티 매출을 확보하기 때문에 관세 이슈에서 자유롭다"며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 역시 제조 서비스수수료(Service fee) 매출로 관세를 적용 받지 않아 실제 제품을 수출하는 경우에도 관세 증가에 따른 감익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환율의 기조가 이어질 시에도 국내 CDMO 기업들에게는 호재로 다가올 수 있다. CDMO 산업 특성상 글로벌 기업들과의 거래로 달러 매출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고환율은 직접적인 매출 상승을 일으킬 수 있다.
약가 인하의 경우 트럼프는 바이로시밀러 등의 육성을 통해 산업을 강화한 뒤 기업들의 경쟁을 통해 간접적으로 약가 인하를 유도하겠단 입장이다. 바이든 정부가 직접 약가를 인하하는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을 시행해 전반적인 투자가 감소했다면, 트럼프 정부의 정책은 글로벌 빅파마(거대 제약사)들의 활발한 연구개발(R&D)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미국 중심의 공급망으로 재편될 것이란 건 예상할수 있는 부분"이라며 "악재도 분명히 있을 수 있겠지만 기회도 많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라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이에 대한 대응을 고민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트럼프 2기, 美 동남부 항만 물류인프라 확보 시급"
- 8만 달러 돌파 '비트코인' 최고가 경신…트럼프 효과 톡톡
- "해외 네트워크 쌓자"…재계, 트럼프 2기 대응 '본격화'
- “흔들림 없다” 현대차, IRA 축소 우려에도 정면돌파 '약속'
- 정부, 금융·통상·산업회의체 가동…트럼프정부 출범에 대응 체제 구성
- ‘ESG 경영 저조’ 바이오벤처의 이유 있는 항변
- 메디톡스, 3분기 영업익 60억원…전년比 67.9%↑
- 트럼프 2기 여파…농산물 수출입에도 불확실성
- 차세대 암 치료법 '방사성의약품'…개발 서두르는 K바이오
- 프레스티지바이오 IDC 개원…산업부 “투자환경 조성 앞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