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 물가 인상이 연말까지 이어지면서 정부가 식품기업을 대상으로 한 고강도 물가 압박에 다시 나설수 있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1%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물가 안정 지표로 삼고 있는 정부 입장에서 식품업계의 도미노 가격 인상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해석에서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농식품부는 "식품업계는 주요 생산국의 이상기후, 재배 면적 감소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하여 국제가격이 큰폭으로 상승한 코코아, 커피, 과일농축액 등을 주원료로 하는 제품에 대해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고 시장 인지 상황을 밝힌 바 있다.
실제 코코아는 지난 25일 기준 톤당 8972달러로 평년 2672달러 대비 235.7% 높아졌고 지난해(4068달러) 대비 120.5% 올랐다.
아라비카 커피도 톤당 6798달러로 평년(3264달러) 대비 108.3%, 전년(3802달러) 대비 78.9% 상승했다. 로부스타 커피는 5110달러로 평년(1786달러) 대비 186.1%, 전년(2489달러) 대비 105.3% 높았다.
오렌지주스는 지난달 기준 파운드 당 530유로로 지난 6월(425유로)보다 24.7%, 지난해 10월(418유로)보다는 26.7%, 2022년 10월(206유로)보다는 157.2% 올랐다.
이에 따라 식품업계의 제품 가격 인상도 확산되고 있다. 동서식품은 지난 15일부터 인스턴트커피, 커피믹스, 커피음료 등 제품 출고 가격을 평균 8.9% 인상했다.
해태제과도초콜릿 원료 비중이 높은 10개 제품 가격을 다음 달 1일부터 평균 8.59% 인상할 방침이다.
원재료 부담으로 가격 인상을 결정하는 곳 뿐만아니라 물류, 인건비를 이유로 가격 인상을 고려하는 기업도 점차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올해 4분기 식품산업 경기현황 지수는 102.6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현황 지수(88.3) 대비 14.3 상승한 수치다. 식품사업 경기 지수는 100을 넘으면 직전분기와 비교했을 때 개선, 그 아래는 반대를 뜻한다.
식품업계 가격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난해 말 고강도 물가 압박에 나섰던 정부가 올해도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11월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 잡기의 일환으로 가공식품 9개 품목(빵, 우유, 스낵과자, 커피, 라면, 아이스크림, 설탕, 식용유, 밀가루)의 물가 관리 담당자를 공식 지정한 바 있다.
업계는 정부의 물가동향 간담회 개최 여부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 통상 정부의 기업 소집 이후 물가 압박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문제는 지난해부터 눌려온 가격 인상 수요가 추가로 눌릴 경우 심각한 가격 폭등을 초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명박 정부 때에도 서민 생활과 밀접한 52개 생필품에 대한 별도 관리에 착수했지만, 해당 품목들의 5년간 물가 상승률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6배로 오히려 가격이 더 오른 바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정부의 물가 압박으로 제당, 제분 등 다수 기업의 가격 인상이 억제된 바 있다"며 "가격 인상 시점 때마다 정부 개입이 이뤄지면 가격 불균형 문제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