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이사(부회장)가 이번 인사를 통해 자리를 지키며 연임에 성공했다. 롯데그룹은 올해 대대적인 최고경영자 및 임원 교체를 단행하며 강력한 쇄신 의지를 드러냈지만, 박 부회장은 예외적으로 그 자리를 유지했다. 이는 그의 뛰어난 재무구조 개선 성과가 긍정적으로 평가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롯데그룹은 28일 롯데지주를 포함해 37개 계열사의 이사회를 열고, 2025년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했다.
이번 인사에서는 전체 임원의 22%가 퇴임하고, 계열사 대표이사 중 21명이 교체되는 등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박 부회장을 비롯해 이동우 롯데지주 부회장, 이영구 롯데식품군 총괄대표 부회장, 김상현 롯데 유통군 총괄대표 부회장 등 주요 인물들은 유임됐다.
롯데지주 관계자는 "현재 추진 중인 사업 전략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올해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사업 실행력을 높이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박현철 부회장은 약 40년간 롯데그룹에서 활동해 온 '롯데맨'이다.
그는 경북대 통계학과 졸업 후 1985년 롯데건설에 입사했으며, 이후 경영개선실장을 역임했다.
그의 리스크 관리 및 사업 구조 개편 능력은 취임 당시부터 인정받아왔다.
특히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촉발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유동성 위기 당시에는 긴급 지원을 통해 회사의 안정을 도모했다.
이를 위해 롯데케미칼은 약 6000억원을 지원했고, 자회사인 롯데정밀화학도 운영자금으로 3000억원을 대여했다.
취임 이후 박 부회장은 만기가 임박한 PF 문제 해결에 주력해 큰 성과를 이뤄냈다. 그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약 6조9000억원에 달하던 PF 우발채무 규모는 올 상반기 약 4조8945억원으로 줄었다.
부채비율도 지난해의 265%에서 올 상반기에 205%로 낮아졌다.
차입금 역시 크게 감소했는데, 작년 말 기준 총차입금은 약 2조8090억원으로 줄었고 이는 레고랜드 위기설이 제기된 시점보다 약 1조원이 감소한 수치다.
올 9월 기준 총차입금은 더욱 줄어들어 약 2조4716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 추세라면 연말까지 차입금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올해 3분기의 영업이익은 전분기의 약 1112억원에서 증가한 약163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요인을 고려할 때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 [Constr. & Now]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16대 박선규 원장 취임 등
- [Constr. & Now] 호반그룹, 자립 준비 청년 위한 진로 탐색 지원 등
- “다칠까 두렵다”…잇단 사고에 공포감 휩싸인 건설현장
- 33년만에 '1기 신도시' 재건축 추진…관건은 분담금·주민동의
- 롯데, 유동성 우려에…쇼핑 ‘자산재평가’·케미칼 ‘자산매각’ 추진
-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등촌역’ 견본주택 29일 개관
- [뷰파인더] ‘힐스테이트 등촌역’ vs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
- “물갈이 인사가 끝 아냐”…롯데, 고강도 사업재편 남았다
- 외국인 국내 주택 보유 9.5만가구 돌파…중국인 55.5% '최다'
- 금리 호재 앗아간 트럼프 정부, 11월 건설채 발행 '제로'
- [EBN 칼럼] 개인채무자보호법이 쏘아올린 빛과 한숨
- 호반그룹, 2025 정기 임원 인사..."그룹 성장 가속화 초점"
- 울산 ‘번영로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 선착순 계약에... 노숙 ‘진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