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악성 임대인’의 수가 명단 공개 1년 만에 1177명(법인 포함)으로 늘어났다. 상습 미반환한 전세 보증금 총액은 무려 1조9000억원에 달했다. 특히 이들 중 상당수가 2030세대였으며, 주요 거주지는 과거 전세사기 사건이 발생했던 지역으로 확인됐다.
2일 안심전세포털에 따르면, 현재 이름과 신상이 공개된 '상습 채무 불이행자'는 개인 1128명, 법인 49개사를 포함해 총 1177명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최근 3년간 구상 채무가 두 차례 이상 발생하고 금액이 최소 2억원 이상일 경우 명단 공개 대상에 포함된다.
공개된 악성 임대인의 평균 연령은 47세로 조사됐으며, 한 사람당 평균적으로 돌려주지 않은 전세금은 약 16억1000만원이었다.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50대가 2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30대가 22%, 40대가 19%로 그 뒤를 이었다.
악성 임대인이 주로 거주하거나 주소지를 둔 지역 역시 주목할 만하다.
대표적으로 경기 부천시에 주소를 둔 사례가 가장 많았고(63명), 서울 강서구(53명)와 인천 미추홀구(48명), 인천 부평구(34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지역들은 과거에도 대규모 전세 사기가 보고된 바 있어 관련 기관들의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관련기사
- [아듀 2024] 고난으로 점철된 K-건설…해외수주 목표마저 좌절
- [신년사] 정원주 주건협 회장 “부동산 PF 정상화 등 정부 정책 필요”
-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6만7천 가구 공급 계획 승인
- 건설업 7개월 연속 생산 감소...통계 작성 이래 최장
- 부실 시공 논란에…용인 '경남아너스빌디센트' 시공사 "불편 최소화" 약속
- 먹거리↓ 인건비↑…새해도 건설업 ‘먹구름’
- [‘25 경제정책] 정부 "주택공급 확대와 SOC 조기 발주·착공 목표"
- [Constr. & Now] 윤진오 동부건설 대표이사 “내실경영 통해 수익성 확보 결의” 등
- [Constr. & Now] 호반그룹, 우수 협력업체 시상식 개최 등
- 해외건설 누적 수주, 59년만에 '1조달러' 돌파
- 내주 전국서 1732가구 분양…서울은 일반분양 없어
- 이동운 부산지방국세청장…김국현 인천청장 선임
- 강서 어린이 ‘핫둘핫둘서울 유아스포츠단’
- ‘5월말 일몰’ 전세사기 특별법, 2년 연장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