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고환율·고금리 등 '3고 현상'이 지속하면서 외식 물가가 크게 뛰었다.
주요 외식 메뉴 가격이 오르고 그나마 저렴하게 점심을 때울 수 있는 구내식당, 편의점 도시락 가격까지 큰 폭으로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이 얇아지고 있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21.01로 전년(117.38)보다 3.1%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년(6.0%)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전체 소비자물가지수(2.3%)보다 높은 것이다.
외식 물가지수는 2022년 7.7%, 2023년 6.0% 각각 오른 데 이어 3년 연속 3% 이상 상승세를 보였고 2012년 이래 12년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웃돌았다.
주요 외식 메뉴별 가격 상승률을 보면 도시락 가격이 5.9%로 상승 폭이 가장 컸고 이어 떡볶이 5.8%, 햄버거 5.4%, 김밥 5.3% 등이었다.
칼국수·치킨(각 4.8%), 냉면(4.2%), 쌀국수(4.1%) 등도 4%대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주로 서민들이 많이 찾는 메뉴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
외식 부담이 커지면서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 좋은 한 끼에 대한 수요는 높아졌지만 간편하게 한 끼를 때울 수 있는 편의점 도시락(4.9%↑), 삼각김밥(3.7%) 등도 3∼4%씩 올랐다.
특히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구내식당의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다.
지난해 구내식당 물가는 전년 대비 6.9% 올라 2001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4% 이상의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2019년부터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에 편입된 편의점 도시락은 전년 대비 상승률이 2020년 2.4%, 2021년 0.6%, 2022년 2.1% 등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다가 2023년 5.2%, 지난해 4.9%로 상승폭이 커져 소비자 부담을 키웠다.
편의점이나 슈퍼,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들이 판매하는 삼각김밥 역시 2022년 1.3%, 2023년 2.9%, 지난해 3.7% 등으로 갈수록 상승 폭이 커지는 추세다.
이러한 런치플레이션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주요 식재료 가격 상승 기조와 무관치 않다.
지난해 농·축·수산물 가격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5.9%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의 2배를 웃돈다. 과일이 16.9% 올랐고 채소(8.1%)와 곡물(3.3%)도 상승했으나 축산물(0.7%↑)은 안정세를 보였다.
런치플레이션 현상은 올해에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반적인 물가 상승 기조 속에 비상계엄 사태와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으로 원/달러 환율 급등까지 더해져 주요 수입 식재료 가격 상승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기후변화와 환율 등 먹거리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점점 복합적이고 다양화하는 양상"이라며 "이런 추세라면 올해도 먹거리 물가지수는 계속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 '내 개인정보 관리 어떻게?'… LG U+, 프라이버시 센터 오픈
- 줄갭·KFTV·워홀코리아, 프랑스向 ‘AI 마케팅 솔루션’ MOU
- KCC-두산건설, 주거 브랜드 컬러 디자인 특화 맞손
- 과기정통부 'AI 강국·디지털 대전환' 청사진 주요 내용은?
- 은행권 가산금리 인하 본격화…"기준금리 더 내릴 것"
- 연말특수 실종…"온라인쇼핑 10개 중 7개 결제액 감소"
- 재료硏 "투명한 내플라즈마성 고엔트로피 세라믹 개발"
- “대세는 자동화”…치킨업계에 부는 푸드테크 바람
- “정부 할인지원, 장기적으론 시장 혼란 야기”
- 한국소비자연맹, 저가 파우더·팩트 14개 제품 안전성 기준 ‘적합’
- '롯데리아·맘스터치' 흑백요리사 신메뉴 흥행해도…소비자 관심 1위는 '맥도날드'
- [뷰파인더] 여름냉면 대전…풀무원·CJ제일제당·대상·오뚜기 각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