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Chat GPT 4o]
[출처=Chat GPT 4o]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임박하면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무대가 바다로 확대되고 있다. 미국의 해군력 강화와 해상 항로 전략 변화 등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국내 조선·해운업계도 긴장 속에서 상황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20일 조선·해운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조선산업, 해군력 증강, 해상 항로 확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미국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정책은 해군력 강화다.

미국은 2022년 기준 294척의 군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400척의 군함을 보유한 중국에 비해 크게 뒤처진다. 여기에 선박 건조 능력 또한 미국은 10만GT 수준인 반면, 중국은 2325만GT에 달해 두 나라 간 격차가 상당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은 1조750억 달러(약 1600조 원)를 투자해 2054년까지 군함 수를 390척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연평균 약 52조 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트럼프 당선인도 중국의 해양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해상 요충지 확보에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가 그 중심에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파나마와 그린란드를 확보하기 위해 군사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발언하며 강경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린란드는 기후변화로 인해 북극해의 빙하가 녹기 시작하면서 북미와 유럽, 러시아를 잇는 북극항로의 전략적 요충지로 떠오르고 있다. 때문에 트럼프 당선인은 2019년에도 그린란드 매입에 대한 의사를 밝혀왔다.

또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후티 반군이 수에즈 운하를 공격하면서 새로운 항로 개척의 중요성도 높아졌다. 지난해 9월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이로 인해 수에즈 운하의 수입이 60% 감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역시 중앙아시아 및 유럽을 연결하는 육해상 실크로드인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에 북극항로 개척을 포함하고 있다. 또 중국 국영 해운사 COSCO는 2013년부터 북극항로를 통한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

미국의 해양 전략 변화는 국내 조선 및 해운업계에도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안기고 있다. 군함 건조와 해상 인프라 확대 과정에서 고품질 기술력을 갖춘 한국 조선사들의 참여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미국 조선산업은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최근 라디오 방송에서도 "동맹국을 활용해 군함을 만들 것"이라며 한국 조선사들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조선 및 해운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 2기를 두고 관세 등 무역 정책에 대한 변화가 주요 이슈로 거론되고 있지만, 해양 전략 변화가 조선·해운업계에 미칠 파급력도 간과할 수 없다"며 "우리나라 업계도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