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2885_665582_2551.jpg)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유예한 가운데 미국 측이 멕시코에 중국산 제품에 대한 자체적인 관세 부과를 요구했다.
블룸버그통신은 22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이 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이달 20일 워싱턴DC에서 멕시코 당국자들과 만나 25% 관세를 피하려면 멕시코가 자체적으로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을 비롯한 미국 측 인사들이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장관 등에게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미국 측에서는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지명자와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회동에서 멕시코 측은 중국과 관련해 어떠한 약속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양측은 무역과 관세 문제를 다룰 실무단 구성에 합의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번 회동을 "건설적 대화의 시작"이라고 평가하며 "24일부터 공동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전면 관세, 중국에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서는 한 달간 유예를 결정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예고대로 시행에 들어갔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미국이 관세 부과의 명분으로 내세운 마약 및 불법이주 단속을 위해 국경 지역에 병력 1만 명을 파견하기로 하면서 1개월의 시간을 확보했다. 그러나 추가 협상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다.
중국이 멕시코를 미국 수출의 우회 기지로 활용하려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멕시코는 최근 중국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중단시키고 중국산 수입품을 자국산으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과 멕시코 당국은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