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연강판.ⓒ현대제철
▶ 열연강판.ⓒ현대제철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가 중국과 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한 덤핑 조사에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내 철강 산업의 피해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중국산 철강 후판에 최대 38%의 잠정 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에 이은 조치다.

무역위원회는 다음 달 4일 관보 공고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조사에 돌입할 예정이다. 조사는 3개월간의 예비조사와 이후 3~5개월간의 본조사로 진행되며, 이르면 6월에 예비 판정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열연강판 수입량 중 중국산과 일본산이 각각 153만t, 177만t으로 전체 수입량의 96.2%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과 일본산 열연강판의 국내 유통가격이 국산 제품보다 10~20%, 최대 30%가량 낮게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중국산과 일본산 열연강판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가격에 국내로 유입돼 피해를 보고 있다"며 무역위원회에 반덤핑 제소를 했다고 밝혔다.

열연강판은 자동차 차체 프레임, 조선·해양 선박의 외판 및 내부 구조물, 건설·건축용 철근과 H빔, 각종 기계 장비 등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핵심 소재다.

중국은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으로, 자국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과잉 생산을 지속하며 저가 제품을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유럽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국내 철강 업계는 작년 7월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제소에 이어, 12월에는 중국산과 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요청했다. 또한, 동국씨엠은 최근 중국산 컬러강판과 도금강판에 대한 반덤핑 제소 방침을 밝혔다.

무역위원회는 지난 20일 중국산 후판에 대해 27.91~38.02%의 잠정 덤핑 관세 부과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의 덤핑 방지 관세 부과 체계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가 조사를 거쳐 건의하면 기획재정부가 이를 집행하게 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